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미충족 영향요인

이용수 1900

영문명
Understanding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Need for Outreach Community Health Service among Older Adults in Seoul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손창우(Shon, Changwoo) 이승재(Lee, Seungjae) 황종남(Hwang, Jongnam)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9권 2호, 213~22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이하 ‘찾동’)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서비스 미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효과적인 커뮤니티케어 정착을 위한 동 단위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찾동 2단계(’16. 7. 1 ~ ’17. 6. 30) 사업에 참여한 17개 자치구 만 65세, 만 70세 노인 중 1,000명을 자치구별 비례할당 및 임의 추출하여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비스 미충족 영향요인의 경우, 개인 및 자치구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어 다수준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서비스 미충족을 높이는 개인적 요인으로 사회경제적 수준(고소득, 독거 및 노인가구), 건강수준(복합만성질환, 건강문해력, 우울), 찾동 경험(간호사 1회 방문, 적은 서 비스 제공시간 및 낮은 이해도), 사회신뢰(낮은 정부신뢰)로 나타났으며, 자치구 요인으로는 사업 시행기간이 짧을수록, 재정자주도가 낮을수록 서비스 미충족 확률이 높았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케어의 효율성 제고를 위 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건강관리 서비스 수혜 대상을 현재의 65세 및 70세 노인 전수 방문에서 중장기적으로 경제적 또는 건강 취약가구로 사업의 초점대상을 좁혀서, 제한된 예산 속에서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요구된다. 둘째, 방문 대상 연령을 만 65세에서 만 66세로 전환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 생애주기별 건강검진사업과 결과를 공유하여, 사업의 효율성이 높이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 찾동 사업은 시군구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국민건강관리를 행정동 단위로 낮추어 국민들이 체감도를 높이고, 지역사회 건강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연구가 향후 커뮤니티케어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 및 정책 대안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needs of Seoul’s newly implemented outreach community services for older adult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outreach community health services in Seoul. A multi-level regression was conducted using data collected by face-to-face interviews from 1,000 individuals aged 65 and 70 in 17 districts, where participated in the Seoul’s outreach community servic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ocioeconomic status (higher income and living alone), health status (having multiple chronic conditions and depression, lower health literacy), limited experience of the outreach community services, and low government trust at the individual level were associated with higher unmet need for the community outreach services. In addition, shorter participation period of the outreach services and financial independency at the district level were associated with higher unmet need for the service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mplies the ne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s by focusing on vulnerable groups such as individuals with lower income and worse health status. In addition, the outreach community health services may need to target individuals aged 66 to increasing efficiency of the services through utilizing results of life-cycle health checkup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창우(Shon, Changwoo),이승재(Lee, Seungjae),황종남(Hwang, Jongnam). (2019).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미충족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39 (2), 213-229

MLA

손창우(Shon, Changwoo),이승재(Lee, Seungjae),황종남(Hwang, Jongnam).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미충족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39.2(2019): 213-2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