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 원주민의 영성신학 연구

이용수 138

영문명
The Study of American Native Theology of Spirituality: ‘The Festival of Sun Dance’
발행기관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저자명
신은희(Shin Eun-Hee)
간행물 정보
『신학사상』신학사상 153집(2011년 여름호), 177~220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0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미국 원주민의 태양춤에 나타난 대신령 개념을 중심으로 토착화된 원주민의 영성신학을 탐구하는 데 있다. 태양춤 축제는 대표적인 주극 종교로서 그들이 더불어 살아온 자연 환경과 생태적 세계관과 깊은 연관을 맺으며 발전한 토속 전통이다. 태양춤은 북아메리카 평원 인디언 중 수어족으로 알려진 다코다 부족이 주축이 되어 발전해 왔다. 원주민들은 매년 7월 초순 하지가 되면 대초원의 중심부에서 태양춤 축제를 거행한다. 이 축제의 목적은 초월적인 영적 힘과 부족의 번영을 위한 전통 예식으로 ‘비전탐구’나 ‘육신공양’과 같은 제례도 겸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태양춤은 1881년부터 1954년까지 ‘야만전통’으로 규정되어 불법화되고 기독교 선교교육으로 인해 퇴색되기도 한다. 태양춤은 백인 중심의 기독교 사관에 의거하여 가장 비문명화된 종교전통으로 오인되어 소멸의 위기에 처하기도 했던 억압된 전통이기도 하다. 이러한 굴절된 역사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원주민의 태양춤 전통은 생태적 관심과 녹색신학 운동에 힘입어 자연만물과의 조화와 공존을 추구하는 실천적 대안 신학으로 주목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주민 영성신학의 논의에 필요한 ‘대신령의 영성체험’을 중심으로 태양춤의 상징과 저항의 역사, 그리고 기독교와의 만남을 통한 문화적 변용 사례들을 논의해 보도록 한다. 태양춤에 나타난 원주민 영성 신학의 특징으로 종교문화의 이원체계 현상, 아픔과 수난의 영성, 몸 미학적 영성, 생태 신학적 영성을 토착화 신학 관점에서 해석한다. 이러한 해석학적 과정을 통하여 그동안 백인의 지배문화가 명명한 ‘야만적인 소수문화’의 원주민 영성이 현대의 과도한 물질문명과 환경파괴의 딜레마 속에서 어떻게 다시금 부활하여 대안적 녹색신학의 영성으로 공헌할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a spirituality of the American Native indigenous theology that combines with the traditional festival of Sun Dance. The term ‘spirituality’ is in this paper meant to be something more than simply practicing a particular ‘religion.’ The American Native spirituality is a pervasive quality of life that develops out of authentic participation in values and real life practices in connecting members of community with the deepest foundations of personal affirmation and identity. The spirituality of Sun Dance particularly is inseparable from any sphere of the Native people’s life with authentic commitment, empowerment, and genuineness of shared concern. The Sun Dance is one of the most colorful Indian rituals celebrated during the summer time. The ceremony was originally a cultural mutation within the Indian tradition. It emerged sometime between 1750-1800 in the Plains area among the Arapahoe, Cheyenne, and Dakoda. The Sun Dance is how American Native people prays. They do not just pray with their voices, but with their whole bodies as well. Dance for them is just a metaphor for life itself. Later, the dance festival, with a influx of Western Christianity, comes to be a major source of indigenous theology of the American Native spirituality. Unfortunately, the Christianity at the initial stage was being introduced with internal pressures of racism and cultural colonialism that brought into the dehumanizing effects. Although such colonial discourses can be manifested in many negative ways, the American Native people can also lead to resistance and healing spirituality. The Sun Dance is specifically part of this landscape of resistance because it allows for the restoring of an individual and community identity. The loss of identity that followed from experience of oppression is repaired as the community come together in their effort to heal, in their renewal of identity. This paper discusses the original goals and forms of

목차

초록
1. 들어가는 말
2. 태양춤의 여정: ‘춤으로 기도하다’
3. 원주민의 영성: ‘대신령을 맞이하다’
4. ‘생명의 춤’에서 ‘저항의 춤’으로
5. 태양춤에 나타난 원주민의 영성신학 해석
6. 나가면서 : ‘우리에게 춤은 신학이다’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은희(Shin Eun-Hee). (2011).미국 원주민의 영성신학 연구. 신학사상, 153 , 177-220

MLA

신은희(Shin Eun-Hee). "미국 원주민의 영성신학 연구." 신학사상, 153.(2011): 177-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