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미국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요인들의 비교

이용수 707

영문명
A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the US in Self-Rated Health and Its Related Factors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학회
저자명
강은정(Eunjeong Kang)한류드밀라(Ludmila Han)
간행물 정보
『보건과 사회과학』제50집, 111~13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은 미국보다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 높은 반면, 기대여명은 높다. 한국이 객관적인 건강수준에 비해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은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이해가 부족 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미국 사이에 존재하는 주관적 건강상태의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들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연구 자료는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미국의 NHANES(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였다. 두 자료는 통합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매우 좋음 혹은 좋음(very good, good), 보통(fair), 그리고 나쁨 혹은 매우 나쁨(bad or very bad)의 세 범주로 정의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된 사회경제적 특성과 건강상태 변수들, 그리고 각 독립변 수와 국가 변수의 교호변수들을 모형에 추가하여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의한 교호작용이 확인된 독립변수에 대해서는 각 국가별로 한계효과를 추정하여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미국이 한국보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더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성, 교육수준, 흡연상태, 활동제한, 일부 만성질환 여부의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에서 한국과 미국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활동제한과 만성질환이 존재할 때 한국이 미국보다 주관적 건강상태를 더 비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한국이 미국보다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쁜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응답보기 중 ‘보통’과 ‘ 의 의미를 다르게 이해하고 있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두 나라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의 fair’ . 미와 응답 스타일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는 추가 연구들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Korea is higher than US in the proportion of negative ratings in self-rated health (SRH), while the life expectancy of Korea is longer than that of US. We do not fully understand why these discrepancies in subjective health and objective health exist.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factors related to SRH between Korea and the US. We used 2016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the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lf-rated health was recoded into three categories: very good or good, fair, bad or very bad. Several variable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condition that were related to SRH and their interaction variables with country variable were included in the ordered regression. Marginal effects were estimated by country for those factors whose interaction effec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howed that Koreans tended to report worse SRH than Americans. And then we also found that sex, education, smoking status, activity limitation, and several chronic conditions were differently associated with SRH by country. The fact that Koreans rate their health more negatively than Americans do when there is activity limitation or a chronic disease may be related to wors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Koreans than Americans. We also found that the meaning of ‘botong’ in Korean and ‘fair’ in English may be differen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SRH and response styles of the two countries.

목차

. 서론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토의
결론 및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은정(Eunjeong Kang)한류드밀라(Ludmila Han). (2019).한국과 미국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요인들의 비교. 보건과 사회과학, 50 , 111-132

MLA

강은정(Eunjeong Kang)한류드밀라(Ludmila Han). "한국과 미국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요인들의 비교." 보건과 사회과학, 50.(2019): 111-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