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1940년대 여성 ‘노동영웅’ 형상

이용수 106

영문명
Labor Heroines in the 1940s of China
발행기관
한국중국소설학회
저자명
金潤秀
간행물 정보
『중국소설논총』제57집, 107~12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중국부녀운동의 방향이 ‘부녀가 생산에 참여하게 하는 것’으로 변환되었던 1942년 整風運動 이후 새롭게 출현하게 된 여성 ‘노동영웅’ 형상이 가지는 의미를 밝히는데 중심을 둔다. 1940년대 延安시기 여성 ‘노동영웅’과 관련된 사회적 논의를 살펴보는 한편, 여성 ‘노동영웅’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작품 중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趙樹理의 <孟祥英翻身>과 <傳家寶>를 통해 여성 ‘노동영웅’이 형상화되는 양상을 함께 고찰한다. 여성의 ‘해방’이라는 주제는 5.4시기 이후 지속되어온 화두로, 여성의 ‘해방’은 봉건적인 가정의 속박에서 벗어나 ‘집을 떠남’이라는 방식으로 가능했다. 반면 이 두 작품 속에서 며느리는 시어머니로부터 갖은 핍박을 받아도 가정을 이탈하지 않으며 아내와 며느리 역할을 지속하고 있으며, ‘노동영웅’이 된 며느리와 시어머니 사이의 힘의 역학관계는 ‘노동’ 능력의 우열을 통해 결정되어진다. 가부장제에 근거하여 며느리를 학대하던 시어머니는 공산당 정부로부터 배척당하는 타자가 되었고, 반면 학대당하던 며느리는 남성 못지않은 노동 능력을 증명해보임으로써 공산당 정부에 의해 ‘노동영웅’이라는 칭호를 얻게 된다. ‘노동’ 능력의 우열에 따라 새롭게 배치된 권력구조는 가정 내에서 가장 약한 존재로 머물러있던 며느리를 가족서사의 중심으로 부상시켰으나, 봉건적 질서의 중심에 있는 부권으로부터의 진정한 해방은 진행되지 않았다. 농촌 가정에 강하게 자리 잡고 있던 가부장제와 부녀해방 문제를 며느리와 시어머니 간의 충돌과 갈등 해결이라는 구조, 즉 다른 여성을 배척 하는 방식에서 알 수 있듯이 봉건적 질서의 중심에 있는 부권제도의 전복은 진행되지 않았다. 여성을 생산노동으로 동원하였던 사회주의 이데올로기 역시 여성을 통제하는 부권적 속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여성은 이른바 ‘말할 수 없는’ 존재, 즉 대상화된 존재로만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meanings of the form of ‘labor heroines’ newly appeared after the 整風運動 of 1942 in which the direction of Chinese women’s movement was changed to ‘making women participate in production’. On top of examining social discussions related to labor heroines of the Yan’an period in the 1940s, this study also considers the aspect of materializing ‘labor heroines’ through <孟祥英翻身> and <傳傢寶> by Zhao Shu-Li, which could be the representative ones out of works with labor heroines as main character. As a topic continued from the 5.4 period, the liberation of women could be done in the method of ‘leaving home’ by getting out of the restriction of feudal family. On the other hand, the daughters-in-law of these two works continue their roles as wife and daughter-in-law without leaving home even when they are persecuted by their mothers-in-law. The dynamics of power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becoming a ‘labor heroine’ is decided by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labor’ ability. The mothers-in-law who abused their daughters-in-law based on the patriarchy become others who were excluded from the communist government while the abused daughters-in-law received a title called ‘labor heroine’ from the communist government by proving their labor abilities as great as men’s. Even though the form of ‘labor heroine’ in the 1940s was exemplarily presented in works, it was unavoidable to have conflicts between laborer and woman fully in charge of housework/childcare, so that it was difficult to be applied to the reality. The ‘labor heroine’ depended on the grand narrative such as socialism and the organizational power of the communist party while the contradictions of patriarchy were not resolved. Zhao Shu-Li avoids these problems by ambiguously describing the endings of the works.

목차

1. 들어가며
2. 부녀해방의 중심이 된 ‘노동’
3. ‘노동부녀’ 형상과 가족서사
3.1 ‘노동영웅’ 며느리와 구시대의 상징 시어머니
3.2 여성의 공적 영역 참여, 불안정한 재현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潤秀. (2019).중국 1940년대 여성 ‘노동영웅’ 형상. 중국소설논총, 57 , 107-124

MLA

金潤秀. "중국 1940년대 여성 ‘노동영웅’ 형상." 중국소설논총, 57.(2019): 107-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