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西部慶南 加耶 木槨墓에 대하여

이용수 213

영문명
A study on Ka-Ya wooden-chamber tombs in western Kyeong Nam province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조영제(Cho, youngje)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12권, 59~7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5.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4세기대 서부경남 가야의 목곽묘는 규모에서 약간의 차이만 보일 뿐 무덤의 구조와 부장 유물에서 탁월한 유구가 찾아지지 않는 대동소이한 것들이며, 이것은 이러한 무덤을 축조한 집단이 계층분화가 진전되지 않은 촌락사회를 이루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5세기 전반대가 되면 함안 도항리고분군에 목곽묘가 집중적으로 축조되면서 중·소형의 순수 목곽묘와 함께 (초)대형이면서 바닥에 礫床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고 甲冑와 馬具 등 다량의 위세품을 부장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이 무덤들을 축조한 집단이 강력한 가야소국이었던 安羅國을 성립시켰음을 보여 준다. 한편 합천 옥전고분군에서도 대형이면서 돌을 이용하여 목곽을 충전하고 바닥에 2개 1조씩의 棺床을 설치할 뿐만 아니라 갑주나 마구 등 위세품을 부장한 목곽묘가 축조되고 있다. 이것은 이 지역에도 함안 지역과 마찬가지로 가야소국인 多羅國이 성립했음을 보여준다. 다만 도항리고분군에 비해 (초)대형 목곽묘가 축조되지 않았다는 것은 다라국이 안라국에 비해 그만큼 열세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5세기 후반대가 되면 도항리고분군을 필두로 함안 일원에서 목곽묘는 거의 축조되지 않는다. 이처럼 함안지역에서 목곽묘의 축조가 급감하거나 소멸하는 것은 목곽묘를 대신하여 새로운 묘제인 수혈식석곽 묘가 지배층의 무덤으로 채택된 것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옥전이나 산청 옥산리 등 서부경남 지역에서는 목곽묘가 여전히 활발하게 축조된다. 특히 옥전고분군에서는 대형뿐만 아니라 (초)대형의 목곽묘가 축조되고 내부주체가 主副槨을 이루면서 거대한 봉분을 가진 고총고분 등이 축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무덤 속에서는 갑주나 마구, 장식대도 등이 복수부장되고, M3호분에서는 鑄造鐵斧를 한 벌 깔아서 관상을 만들 정도로 목곽묘의 축조가 활발하 다. 옥전고분군에서 나타나는 목곽묘의 이러한 양상은 앞 시기부터 이 지역에 존재했던 다라국이 더욱 발전하여 강국으로 성장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6세기가 되면 가야지역에서 목곽묘는 거의 사라지고 옥전고분군이나 옥산리유적에서 그 명맥만 유지 한다. 따라서 가야의 목곽묘는 5세기 말로서 종말을 고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e 4th century in Gyeong Nam, there has been a slight difference on the size in Gaya s wooden-chambered burials. The structures of tombs and relics remained similar, without any immemorial trace found. It explains that the community who built the burials did not develop the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in the village. Beginning of the early 5th century, wooden-chambered tombs were intensively built at the Complex of Haman Dohang-ri Ancient tomb; various sizes of wood-made burials were installed with supersized pebble platforms on the bottom, and vast quantities of prestige goods such as helmets and horse gears were buried together. This phenomenon explains that these burials were constructed by Ara Gaya(Ahn-ra guk), the powerful city-state kingdom established in the part of Gaya confederacy. On the other hand, wood-made tombs were also built in an enormous size at the Complex of Hapcheon Okjeon Ancient tombs. The wood-made burials were plugged using stones, which were installed with pairs of coffin platforms on the bottom, and buried with prestige goods as well. Like Haman region, it clearly shows the establishment of Da-ra guk, one of city-state kingdom in Gaya confederacy; however, difference in the size of burials show that Da-ra guk was inferior compared to Ahn-ra guk. In the late 5th century, wood-made burials were rarely built in Haman region starting with the Complex of Dohang-ri Ancient tombs. It was caused by the adoption of the vertical stoned burials instead of wooden-chambered burials for hierarchy. However, wooden-chamber burials were still constructed rapidly in West Gyeong Nam region such as Okjeon and Sancheong Oksan-ri. Not only the size of the Ancient tombs in these areas had increased from an enormous size to a superior size, the actual qualities of the tombs built in these areas were well-recognized. Moreover, enormous quantities of prestige goods such as helmets and horse gears were buried in these tombs, and cast iron axes we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tomb named M3 along with all other prestige goods. The aspect of the wooden-chambered burials at the Complex of Okjeon Ancient tombs shows the development of Da-ra guk into powerful nation. In the 6th century, wooden-chamber burials almost disappeared in Gaya region, except for the Complex of Okjeon Ancient tombs and the Remains of Sancheong Oksan-ri. Hence, it concludes that Gayas wooden-chambered burials were brought to an end at the end of the 5th century.

목차

1. 序言
2. 屬性分析과 型式分類
3. 木槨墓의 變遷과 展開
1) 古式陶質土器 段階(4세기대)
2) 型式亂立期 段階(5세기 전반대)
3) 地域色 確立期 段階(5세기 후반대)
4. 結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제(Cho, youngje). (2013).西部慶南 加耶 木槨墓에 대하여. 고고광장, 12 , 59-78

MLA

조영제(Cho, youngje). "西部慶南 加耶 木槨墓에 대하여." 고고광장, 12.(2013): 59-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