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강 중·하류역 2~5세기의 일상토기 변천
이용수 144
- 영문명
- The transition to Pottery of daily living in the upper and middle basin of Han river in the 2~5th centuries.
- 발행기관
- 부산고고학회
- 저자명
- 김일규(Kim, Ilgyu)
- 간행물 정보
- 『고고광장』12권, 31~5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5세기대의 한강 중·하류역의 취락유적에서 출토된 일상토기의 변천과 연대를 검토하여 중도식토기에서 한성기 백제토기로의 변화시점과 그 요인을 설명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해당유물의 형식분류와 단계를 설정하고 연대를 검토했다.
연대검토는 일상토기와 동반된 주조철부, 방제경, 야요이계토기 등을 중국 동한(東漢)~진대(晋 代)의 자료, 일본의 야요이시대 후기의 자료, 영남지역의 고분출토 자료와 비교하여 교차편년을 행하였다.
검토 결과 본고Ⅰ기는 3세기 전반, Ⅱ기는 3세기 후반, Ⅲ기는 4세기 전반, Ⅳ기는 4세기 후반,
Ⅴ기는 5세기 전반, Ⅵ기는 5세기 후반으로 편년하였다.
Ⅳ기인 4세기 후반에는 일상토기에 변화가 나타나는데 한성기 백제토기가 출현하는 단계다. 한성기 백제토기는 Ⅴ기에 기종구성이 완성 되어가는 과정을 거쳐 Ⅵ기에는 기종조성이 완비되는 것으로 파악했다. 이는 기존의 편년보다 100년 이상 하향조정 된다.
Ⅳ기의 일상토기의 변화는 4세기후반 백제가 대·내외적으로 체제정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가 일상의 물질상에 반영된 결과로 파악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changing point and reason for change from Jungdo type Pottery to Baekje Pottery in the Hanseong period was explained by examining the change and period of Pottery of daily living excavated at the settlement remains in the upper and middle basin of Han river in the 2~5th centuries.
As for the period review, cast iron axe, imitation mirror, and Yayoistyle pottery accompanying Pottery of daily living had been compared with the materials of Eastern Han ~ Qin Dynasty of China, the materials of the late Yayoi period of Japan, and the material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 of the Yeongnam region. Afterwards the cross-dat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eriod review, in this paper the Ⅰ phase corresponds to the first half of the 3th century, the Ⅱ phase - the second half of the 3th century, the Ⅲ phase -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the Ⅳ phase -the second half of the 4th century, the Ⅴ phase -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and the Ⅵ phase - the second half of the 5th in chronology.
In the second half of the 4th century which corresponds to the Ⅳphase, changes appeared in Pottery of daily living, and this was the time of the emergence of the Baekje pottery of the Hanseong period.
Baekje era of pottery Hansung be equipped with aircraft configuration through the process is going to complete the configuration model in step 5, step 6, were identified.
Baekje era of pottery Hansung, undergoing a process model in Ⅴ phase is going to complete the configuration, Ⅵ phase was identified as the aircraft configuration is fully.
This chronology is lowered for more than 100 years than the conventional chronology.
Ⅳ phase everyday pottery appear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maintenance system at home and abroad in the late 4th century, Baekje was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changes reflected on
목차
Ⅰ. 머리말
Ⅱ. 일상토기의 변천양상
Ⅲ. 단계설정과 편년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