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戰國 燕 철기문화의 중국 동북지방 유입시점

이용수 301

영문명
Its time of emergence the ironware culture of the Yan(燕) flowed into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김일규(Kim, Il-kyu)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17권, 31~5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중국 동북지방에 戰國 燕의 철기문화가 유입된 시점과 그 배경에 대해서 살펴본 글이다. 戰國時代 三晉地域과 燕은 물론 중국 동북지방에서도 출토 예가 많은 대표적인 戰國 錢幣인 方足布 를 형식 편년하여 燕下都 중기로 분류된 자료에 대입하였다. 이 결과 戰國 晩期 유물이 혼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는 한편 명도전 통설의 연대를 보강하였다. 또한 연하도 중기로 분류된 자료는 상대비 교에 의한 편년자료로 이용하기에 부적당하며 동시에 명도전 통설의 연대는 대체로 안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 동북지방에서 출토된 전국 연의 철기는 명도전, 요녕식동검과 동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명도전의 형식 연대에 근거하여 편년을 행한 결과 중국 동북지방에서 출토된 燕 철기의 상한은 기원전 3세기 중엽으로 편년되었다. 이는 燕 昭王 晩期 秦開의 東胡攻略에 의한 5군의 설치와 궤를 함께 하는 것에서 燕이 주체가 되어 철기문화를 직접적으로 전파하였음을 알 수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t is studied that when the ironware culture of the Yan(燕) flowed into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and its background. The Fangzubu(方足布) that is commonly found in the SanJin(三晉), Yan area as well as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is separated into types and arranged chronologically, and it is substituted to the datum of the middle of the Yanxiadu site(燕下都). As a result, the artifact of the latter Warring States period is mixed in this site, and the existing chronological theory about the Mingdaoqian(明刀錢) has strengthened. It means that the artifact thought as the middle of the Yanxiadu site is not suitable for chronological comparing, and the existing chronology of the Mingdaoqian is stable. The ironware of the Yan exavated in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is commonly found with the Mingdaoqian and the Liaoning type bronze dagger. On the base of the chronology of the Mingdaoqian, the upper limit of the ironware of the Yan in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is thought as the B.C 3rd century. The Yan itself spread the ironware culture to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directely because it is connected with the defeat of Donghu(東胡) by Qinkai(秦開), the general of the Yan, in the period of the King Zhao(昭王)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five countries(郡).

목차

Ⅰ. 머리말
Ⅱ. 戰國 錢幣의 검토
1. 戰國 晩期 燕의 철기
2. 明刀錢 검토
Ⅲ. 중국 동북지방 초기철기의 검토
1. 方足布의 검토
2. 중국 동북지방 출토 燕系 철기의 편년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일규(Kim, Il-kyu). (2015).戰國 燕 철기문화의 중국 동북지방 유입시점. 고고광장, 17 , 31-53

MLA

김일규(Kim, Il-kyu). "戰國 燕 철기문화의 중국 동북지방 유입시점." 고고광장, 17.(2015): 3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