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高塚古墳時代의 蓮山洞古墳群

이용수 190

영문명
Yeonsan-Dong Tombs in the period of an ancient tomb with a gigantic mound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金 斗 喆(Kim, Doochul)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19권, 53~8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구려군 남정 이후 1/4분기 간의 과도기를 거친 후 전기가야연맹은 해체되고 영남의 제 지역은 커다란 변동을 겪는다. 아라국(함안), 다라국(합천)ㆍ비화국(창녕), 가라국(고령) 등 후기가야의 주요소국들이 낙동강을 거슬러 올라가며 순차 나라를 세우고, 압독국과 같은 경주 인근의 유력소국들도 이때 성립한다. 경주에서도 적석목곽묘가 조영되기 시작하며 황남대총 남분의 조영 시점에서는 영남의 패자로서 우뚝 선다. 이때부터 영남 지역은 경주를 중심으로 한 ‘중심과 주변’의 관계가 성립한다. 다만 그것을 정치적 관계로 한정할 수는 없다. 가야 제 소국은 성립 당초부터 고총고분을 조영한 것은 아니다. 이들 지역에서의 고총고분은 일시에 나타나며 그것은 황남대총 남분 축조에 자극을 받은 것으로 5세기 3/4분기의 늦은 단계부터이다. 이 무렵 가장 늦게 나라를 세운 가라국의 수장 무덤은 처음부터 고총고분이다. 이처럼 경주의 적석목곽묘 조영에서 촉발되어 일시에 영남 각지의 수장무덤에 채용된 고총고분은 지역마다 독자적이면서 각 소국의 수장권을 상징한다. 따라서 이 시기를 ‘고총고분의 시대’로 부르고자 한다. 고총을 조영한 각지 수장은 독자의 자치권, 제의권, 교섭권을 행사하며 권역 내의 인민을 통솔하였다. 이고총고분 시대의 끝은 신라의 주변지역 진출과 관련하여 ‘고총고분과 그 묘역의 폐절’ 또는 ‘묘역 이동과 신라의 신묘제(횡혈식석실) 이식’이나 ‘부장품의 신라화, 곧 후기양식토기의 부장’이란 고고현상으로 구현되기도 한다. 연산동고분군을 그 대표사례로 들 수 있다. 남정 이후 부산의 복천동 세력은 새로운 시대환경에 적응하며 일시 영남지역의 성장을 견인하였으나, 그 동력은 이내 황남대총 남분으로 상징되는 신라에 흡수되고 만다. 그렇다 하여도 독자의 전통을 유지하였다. 고총으로 막을 올린 연산동고분군의 수장층은 장법 등 여러 면에서 복천동의 수장권을 계승하였다. 수장 묘역의 이동을 상정할 수 있다. 이 연산동의 고총고분에 보이는 고고자료는 그 내용이나 분포에서 낙동강변을 따라 성립된 가야소국들과 맥을 같이 한다. 결국 부산 지역 정치체의 소멸은 연산동고분에서 고총고분이 더 이상 영조되지 않게 된 시점으로 금관국 멸망을 전후한 시기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After the conquest of Goguryeo, the union of the former Gaya collapsed through a quarter of a century, and Yeongnam area experienced a great change. The latter Gaya such as Ara(Haman), Dara(Hapcheon), Bihua(Changnyeng) and Gara(Goryeong) was established along the Nak-dong river with ascending. The powerful small nations around Gyeongju area such as Apdok were established at this time.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was constructed in Gyeongju, and Gyengju seized hegemony of Yeongnam area with constructing the Hwuangnam great tomb. From this moment, the ‘centre and periphery’ relation centred on Gyeongju in Yeongnam area was formed. However, it should not be limited as the political relation. A tomb with a gigantic mound was not construc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nations of the latter Gaya. This tomb appeared at the same time – the latter part of the third quarter of the 5th century in this area and it was stimulated by constructing the Hwuangnam great tomb. The tomb of a ruler of Gara that was established late in this area had a gigantic mound from the beginning. The tomb with a gigantic mound accepted as a ruler’s tomb in Yeongnam area was independent by region and it symbolized ruler’s authority of each nation. Thus it could be called ‘the period of an ancient tomb with a gigantic mound’. A ruler who constructed this tomb in each nation governed people with exercising own autonomous right, right of ancestral rites and diplomatic right. The end of this period was represented by the archaeological phenomenon such as ‘extinction of this tomb and its burial ground’, ‘movement of the burial ground and emergence of the new type tomb of Silla’ or ‘change to gravegoods of Silla, burial of the latter style pottery’ related with the expansion of Silla. Yeonsan-Dong tombs should be a representative example. After the conquest of Goguryeo,the Pokchon-dong group of Busan adapted to the new age environment and led the development of Yeongnam area for short time. However, this motivity integrated into Silla soon, but it kept its own tradition. The rulers of Yeonsan-Dong tombs started with a tomb with a gigantic mound inherited the right of sovereignty of Pokchon-dong. It should be postulated the movement of the burial ground of rulers. The archaeologic data of Yeonsan-Dong tombs shows same situation with the small nations of Gaya established along Nakdong river in its contents and distribution. As a result, extinction of the political organization of Busan should be the moment of the end of the construction of a tomb with a gigantic mound in Yeonsan-Dong. It corresponds to time of before and after fall of Geumguan n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연산동 고총고분의 편년과 계통
Ⅲ. 고총고분과 가야, 신라의 인식론
IV. 연산동 고총고분과 주변지역과의 관계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 斗 喆(Kim, Doochul). (2016).高塚古墳時代의 蓮山洞古墳群. 고고광장, 19 , 53-86

MLA

金 斗 喆(Kim, Doochul). "高塚古墳時代의 蓮山洞古墳群." 고고광장, 19.(2016): 5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