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evelopment of Student Engagement Scale for University Flipped Learning

이용수 451

영문명
대학 플립드 러닝 학습 몰입 평가도구 개발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Hae-Deok Song(송해덕) Ah Jeong Hong(홍아정) Yeonkyoung Kim(김연경) Juyeon Hong(홍주연)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4권 제1호, 23~5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플립드 러닝에 대한 관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제 대학 현장에서 플립드 러닝의 활용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주요한 원인의 하나로 플립드 러닝의 성과가 무엇인지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플립드 러닝에서 강조하는 구성원 상호작용과 능동적인 학습이 학습몰입과 관계된다는 측면에서, 학습 몰입은 플립드 러닝의 주요한 교육성과로 볼 수 있다. 그렇지만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에 대한 측정은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플립드 러닝의 수업단계를 고려한 학습 몰입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평가도구 개발을 위하여 먼저 플립드 러닝 및 학습 몰입 관련 선행연구와 교수자 및 학습자 인터뷰, 수업 관찰 등을 통해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대학생 45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성 타당도 분석, 신뢰도를 분석하여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평 가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토하는 본조사에는 대학생 376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총 10개 요인(학습 열정, 교실 밖 상호작용, 교실 안 상호작용, 사전학습내용 활성화, 학습내용 통합, 학습경험 만족, 메타인지 활용, 적극적 도움추구, 학습계획 수립, 학습전략 활용), 41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플립드 러닝 학습 몰입 평가도구의 향후 활용을 중심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current attention on flipped learning (FL), FL is not largely adopted into university classes. One reason can be found that the educational outcome of FL is not clearly defined. Given that FL emphasizes active learning and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student engagement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outcomes for FL.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student engagement in FL class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for assessing student engagement for university FL. To do this, the factors and items were drawn from reviews of relevant literature and case studi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one university from Seoul, Korea. Fist, explan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collected from 458 university students to identify the factor of the instrument. Nex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from 376 university student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The derived 10 factors were as follows: Learning Enthusiasm, interaction outside the classroom, interaction inside the classroom, pre-class contents activation, contents integration, learning experience satisfaction, using meta-cognition use, help-seeking, planning for learning, and using learning strategi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suggested with discussions for future studies for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Hae-Deok Song(송해덕),Ah Jeong Hong(홍아정),Yeonkyoung Kim(김연경),Juyeon Hong(홍주연). (2019).Development of Student Engagement Scale for University Flipped Learning.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4 (1), 23-51

MLA

Hae-Deok Song(송해덕),Ah Jeong Hong(홍아정),Yeonkyoung Kim(김연경),Juyeon Hong(홍주연). "Development of Student Engagement Scale for University Flipped Learning."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4.1(2019): 23-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