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50~1960년대 『조선녀성』을 통해 본 북한 인민의 의복 문화 : 사회주의 이행기 일상생활 변화의 시론적 검토

이용수 229

영문명
The Clothing Culture of North Koreans through the Chosŏnnyŏsŏng during the 1950s and 1960s: A Preliminary Study of Everyday Life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Socialism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이주호(Lee, Jooho)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86집, 367~39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전반에 이르는 시기의 조선녀성에 게재된 의복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여 당시 북한 인민들의 의복 문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후 재건기 북한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정치사와 대외관계사에 관한 것이 많으며, 사회경제사 연구들은 1960년대 후반부터 등장한 ‘수령체제’의 전사(前史)를 파악하는데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는 전후 복구라는 사회경제적 토대의 변화, 그리고 사회주의 이행이라는 사회적 변화가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소재는 사회주의 국가의 일상 개혁을 잘 보여주는 의복이다. 분석 대상인 조선민주녀성동맹의 기관지 조선녀성은 여맹의 정책과 소식 뿐만 아니라, 여성과 가정 생활 전반을 다루는 종합교양잡지였다. 조선녀성의 의복 관련 기사들은 공장제 직물의 증산에 따라 등장한 의복 생산의 새로운 관습, 여전히 직물과 의복이 풍족하지 않은 상황을 반영하여 절약과 합리적 소비가 강조되고 있는 모습들을 보여준다. 또한 여성 의복의 형태와 디 자인에 대한 기사들을 주목해야 한다. 새로운 사회가 중요시하는 가치관이 여성 의복에서 색상으로 표현되었던 양상, 그리고 전통 의복에 대한 강조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의 의복이 전통의 치마-저고리에서 서구식 양장 스타일로 변화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의복 문화의 변화는 비교사적 접근을 통하여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의복은 냉전기 사회주의 진영 내부의 문화적 분기를 보여주는 소재이다. 소련과 동유럽에서는 1950년대 들어 서유럽의 영향을 받아 패션에 있어 자유로움이 강조되었던 반면, 중국의 경우 의복에 있어서의 계급정책과 실용주의 강조가 정점을 찍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북한의 의복 문화는 중국보다 소련에 가까웠다. 북한과 중국은 같은 시기에 급진적 사회변화를 경험하고 있었지만, 일상 문화의 차원에서 북한인민들의 생활은 중국과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북한 사회의 변화 양상을 일상생활 차원에서 조명해본 바, 기존에 알려져 있는 1950~1960년대 북한 사회에 대하여 다른 차원에서 상상해볼 수 있는 여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북한의 사회주의 이행기 사회상은 소련과 동유럽, 그리고 중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주의 냉 전문화사 연구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e in North Koreans’ clothing culture between the 1950s and the early 1960s. Former studies of North Korean society after the Korean War have mainly dealt with central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Meanwhile, social history studies have been lacking, except on topics regarding the formation of the Suryŏng regime in the late 1960s. I believe it is important to focus on social changes in the everyday lives of ordinary people. The main source for this study is the Chosŏnnyŏsŏng, which was published by the Korean Democratic Women’s Union. The Chosŏnnyŏsŏng was not only an official bulletin, but also a comprehensive journal dedicated to women’s lives and family affairs. Articles in the Chosŏnnyŏsŏng cast a light on the clothing culture of North Koreans. They reveal the improvisation of the fabric production, the appearance of ready-made clothes, and the rise of discourses arguing for the rational consumption of clothing. Moreover, it shows that it was the colors that mattered in selecting clothes and dress, especially for young women. While many articles emphasized traditional Korean clothing and its meaning, ordinary people were getting accustomed to western clothing. I believe that the discourse in the Chosŏnnyŏsŏng shows familiarity with the Soviet experience, and differs significantly from China in the same period. My main argument is that in the transitional period, the North Korean society had some room for private life. Therefore, it is not fair to say that the Korean people were already getting caught in a repressive regime.

목차

1. 머리말
2. 전후 복구와 의복 생활의 변화
1) 공장제 직물의 증산과 생활 개선
2) 절약이 강조된 소비 담론
3. 여성 의복에 투영된 북한 사회
1) 무채색으로 표현된 새로운 사회의 가치관
2) 전통 의복 논의를 통해 본 서구식의복의 확산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호(Lee, Jooho). (2019).1950~1960년대 『조선녀성』을 통해 본 북한 인민의 의복 문화 : 사회주의 이행기 일상생활 변화의 시론적 검토. 동방학지, 186 , 367-396

MLA

이주호(Lee, Jooho). "1950~1960년대 『조선녀성』을 통해 본 북한 인민의 의복 문화 : 사회주의 이행기 일상생활 변화의 시론적 검토." 동방학지, 186.(2019): 367-3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