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화 옥테닐 호박산 전분의 유화 특성

이용수 80

영문명
Emulsifying Properties of Gelatinized Octenyl Succinic Anhydride Modified starch from Barley
발행기관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저자명
김산성(San-Seong Kim) 김선형(Sun-Hyung Kim) 이의석(Eui-Seok Lee) 이기택(Ki-Teak Lee) 홍순택(Soon-Taek Hong)
간행물 정보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6권 제1호, 172~186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공학 > 화학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OSA 전분을 열처리 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OSA 전분 에멀션의 이화학적 특성 및 계면 흡착 구조 등을 조사하였다. 에멀션 중 지방구의 크기는 OSA 전분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0.2 wt% 농도에서 최소값(0.31±0.01 μm)을 나타내었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에멀션의 크리밍 안정도는 OSA 전분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0.75 wt% 이상의 첨가 농도에서 크리밍 발생에 대하여 매우 안정하였다. 에멀션 중 OSA 전분의 계면 흡착량은 0.2 wt%첨가 농도 이상에서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으며(0.2 wt% : 1.03 mg/m2→1.25 wt% : 5.08mg/m2), 이는 계면에서 OSA 전분이 다층 구조를 이루는 것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OSA 전분 에멀션의 pH를 조절하였을 때 산성 지역에서 지방구의 응집에 의해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타 전위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되었다. 터비스캔에 의한 분산 안정도 또한 pH에 영향을 받아 산성 지역에서 낮았으며, pH 7 이상에서는 높은 분산 안정도 특성을 보였다. 공초점현미경을 이용하여 열처리된 OSA 전분이 흡착된 지방구 표면을 관찰한 결과, OSA 전분은 입자 형태가 아닌 두꺼운 계면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에멀션 형성 전에 OSA 전분을 열처리할 경우, 전분의 호화과정에서 용출된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이 지방구 표면에 막의 형태로 흡착되므로, OSA 전분 에멀션에 있어서 중요한 유화 안정화 기작은 ‘입체장애 안정화(steric stabilization)’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mulsifying properties of heat-treated octenyl succinic anhydride(OSA) starch and the interfacial structure at oil droplet surface in emulsions stabilized by heat-treated OSA starch. First, the aqueous suspensions of OSA starch were heated at 80℃ for 30 min. Oil-in-water emulsions were then prepared with the heat-treated OSA starch suspension as sole emulsifier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fat globule size, surface load, zeta-potential, dispersion stability,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ic image(CLSM) were determined. It was found that fat globule size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OSA starch in emulsions increased, showing a lower limit value (d32: 0.31 μm) at ≥ 0.2 wt%. Surface load increased steadily with increasing OSA starch concentration in emulsions, possibly forming multiple layers. In addition, fat globule sizes were also influenced by pH: they were increased in acidic conditions and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in view of the change in zeta potentials. The dispersion stability by Turbiscan showed that it was more unstable in emulsions at acidic condition. Heat-treated OSA starch found to adsorb at the oil droplet surface as some forms of membrane (not starch granules), which might be indicative of stabilizing mechanism of OSA starch emulsions to be steric forces.

목차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산성(San-Seong Kim),김선형(Sun-Hyung Kim),이의석(Eui-Seok Lee),이기택(Ki-Teak Lee),홍순택(Soon-Taek Hong). (2019).호화 옥테닐 호박산 전분의 유화 특성.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6 (1), 172-186

MLA

김산성(San-Seong Kim),김선형(Sun-Hyung Kim),이의석(Eui-Seok Lee),이기택(Ki-Teak Lee),홍순택(Soon-Taek Hong). "호화 옥테닐 호박산 전분의 유화 특성."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6.1(2019): 172-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