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허목(許穆)의 상고주의(尙古主義)적 고문(古文)인식 고찰

이용수 117

영문명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Heo mok s Archaic Text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정주하(Jeong, Ju-ha)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4호, 69~8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 17세기는 양란의 폐해로 인해 국가위기에 직면하였고, 특별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 성리학에 대한 비판과 자성이 높아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활동한 미수(眉叟) 허목(許穆, 1595-1682)은 국가이념의 재건을 위해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미수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2-1571)의 학맥을 계승하면서도 진취적인 사고로 실천적 학문을 추구한 인물이다. 미수는 당시의 사회적 혼란을 광정(匡正)하기 위해서는 ‘고문학(古文學)’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고대 중국의 신성한 권위를 지녔으며 지치(至治)를 펼쳤던 ‘삼대(三代)’의 정치를 구현하는 것을 이상향으로 여겼다. 이처럼 고문에 주목하고 다시 복 귀하려고 노력한 것은, 바로 문자에 함축되어 있는 ‘정신성’ 때문이다. 즉, 고대 문자를 통해 유학정신의 본령을 회복하고, 이를 토대로 당대에 유효한 유교이념을 펼쳐야한다는 생각이다. 그래서 미수는 철저한 ‘상고주의자’였으며, 평생에 걸쳐 전심전 력으로 몰두했던 학문은 ‘고문학’이었다. 미수의 고문학은 곧 ‘육경학(六經學)’을 가리킨다. 그는 􋺷육경􋺸이 천지의 지극한 가르침이자 성인의 도가 실려 있는 요체로 여기고 매우 중시하였다. 미수는 당시 문인들이 ‘정주(程朱)’의 주석에만 매달리는 세태를 비판하였다. 그는 ‘정주’의 해석만 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육경 고문을 이해해야 원시유학의 본래 모습을 회복할 수 있다고 여겼다. 주목할 점은 미수가 선진(先秦)의 고문만을 중시할 뿐, 한ㆍ당 이후의 문자에 관하여는 거의 평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것은 고문에 대하여 높은 식견을 가지고 있었던 미수에게, 한ㆍ당 시대 이후의 문자는 자연미와 창고(蒼古)한 아취(雅趣)가 사라져버린 비속한 문자들이었기 때문이다. 미수의 ‘상고정신’을 기반으로 한 고문인식은, 성리학적 교조주의에 빠져있었던 당시의 학계와 예술계는 물론이고 후대에 까지 큰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In the 17th century, Joseon faced a national crisis through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s. Therefore, the voice of reflection about the Sung Confucianism which does not offer a special solution begins to be expressed. Under such a background, Mi-su Heo, Mok(1595-1682) pursued a practical discipline while pursuing a school ties of Toe-gye Lee, Hwang(1502-1571). In particular, he played a pivotal role in various fields in the mid-Joseon period of the transition period. Mi-su believed that the study of ‘paleography could improve the social chaos of the time, so he thought implementing the politics of the ancient Chinese ‘Three generations was ideal. This attention to archaic texts and effort to return is due to the ‘jeongsinmi’ inherent in the text. Therefore, Mi-su was a thorough ‘sang-gojuuija’ and his lifelong devoted scholar was ‘paleography’. The paleography of Mi-su is also ‘yuggyeonghag’. He thought the book 􋺷yuggyeong􋺸 as an important element of adult character, which is the teaching of heaven, as it is for adults to follow the will of heaven, to set standards, to achieve business by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all things. Mi-su criticized the situation in which a literary men were only dependent on ‘Jeong-ju s annotation. He did not follow the interpretation of ‘Jeong-ju’, but tried to find the true appearance of primitive Confucianism by directly understanding thearchaic texts of yuggyeong. What s noteworthy is that the ‘seonjin s has valued only the archaic texts, but has rarely evaluated ‘Han · Dang’ archaic texts. This is because to a man who had a high level of knowledge about archaic texts, the ‘Han · Dang period of text was a vulgar alphabet with no natural beauty and no storage. The recognition of archaic texts based on the sang-gojeongsin of ‘mi-su had a great influence on both the academia and the art world of the time and the later generations that had fallen into the stereotypical dogmaticism.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육경」중심의 상고정신
Ⅲ. 선진고문 중시의 고문인식
Ⅳ.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주하(Jeong, Ju-ha). (2019).허목(許穆)의 상고주의(尙古主義)적 고문(古文)인식 고찰. 서예학연구, (34), 69-85

MLA

정주하(Jeong, Ju-ha). "허목(許穆)의 상고주의(尙古主義)적 고문(古文)인식 고찰." 서예학연구, .34(2019): 69-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