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전기 사대부의 시문(詩文)에 나타난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예술세계

이용수 214

영문명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Prince Anpyeong Presented on the Poetry of the Literati(士大夫) of Early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이기범(Lee, Gi-bum)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4호, 5~3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안평대군에 관해서는 그간 학계에서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대략적으로 학위논문이 90여 편, 학술지 논문이 100여 편, 단행본이 260여 편 출간되었다. 선행연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안평대군 연구 중에서도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시문과 예술의 상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였다. 세종(世宗)에게는 맏아들 문종(文宗)을 비롯하여 수양대군(首陽大君, 세조), 안평대군, 임영대군(臨瀛大君), 광평대군(廣平大君), 금성대군(錦城大君), 평원대군(平原大君), 영응대군(永膺大君) 여덟 아들을 두었지만, 왜 안평대군만이 문단의 중심이 되었을까? 그것은 대군이라는 지위 때문만이 아니라, 그에게는 당시 최고 수준의 시작 능력이 있었고, 이를 통하여 사대부들과 이상을 공유하며 공감과 지지를 받은 문예 지향적 리더십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 글에서 중요하 게 생각하는 부분은 바로 이러한 문예 지향적 리더십을 통한 이상향의 공유와 공감, 곧 소통인 것이다. 안평대군에 관하여 쓴 시문들을 시기적으로 살펴보면, 33세가 되기 이전의 시문들에서는 그의 글씨를 호평한 시문이 거의 없음을 알게 된다. 그것은 그가 비록 뛰어난 시적 능력으로 문단의 중심에 있었지만, 글씨에 대해서는 그렇게 인정을 받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그는 33세가 되는 해 정월에 명나라 사신으로 온 예겸(倪謙)과 사마순(司馬恂)의 검증을 거친 후에야 비로소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 일이 있는 이후로 안평대군의 서예에 관한 많은 시문이 지어졌다. 그는 36세에 일어난 계유정난(癸酉靖難) 전까지 짧은 기간 많은 찬사를 받았고, 그러한 평가가 지금까지 이어져 온 것임을 여러 시문이 말해준다. 안평대군은 당시 사대부들과 이상을 공유하며 그 시대의 예술사상을 선도했다. 당시 사대부들이 안평대군의 작품을 보고 비평한 글들의 핵심은 시・서・화가 천도(天道)와 합일되는 경지를 요구하였는데, 이것이 곧 시서화일률이다. 이 의미는 단지 이론적인 것이 아니라, 당시 사대부들과 함께 시회 등의 모임을 통하여 시와 그림과 글씨가 모두 최고의 이상적 경계에 나아감을 추구한 것이었다. 이 논문의 핵심은 시・서・화를 통한 안평대군과 당대 사대부들과의 소통과 이상의 공유이다. 이것이 곧 안평대군의 문예 지향적인 리더십이었으며, 이러한 리더십을 통하여 그는 세종대의 찬란한 문화를 선도했다. 시・서・화가 어우러지며 조 정의 중요 문신들이 참석한 이러한 문화는 조선 전체 역사 속에서도 이 시기가 가장 성대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body of research on prince Anpyeong: about 90 dissertations, 100 papers in an academic journal, and 260 books. However, this paper focuses on points that have not gained much attention. Even though king Sejong had eight sons: the oldest son, king Munjong, prince Suyang, king Sejo, prince Anpyeong, Imyeong, Gwangpyeong, Geumseong, Pyengwon, Yeongeung, what made prince Anpyeong take center stage in poetry? This was not only because he was a prince, but also he was a master on poetry. His outstanding poetry skills help share ideals with the literati, win support and arouse sympathy from them, by which he could provide literature-oriented leadership. The emphasis of this paper lies in the shared ideals and sympathy, all of which is about communication. Taking a look at poems written on him by period, there were rarely complimentary comments on his handwriting until he turned 33. This indicates that even though his outstanding poetry skills put him at the center of literature, his handwriting failed to be recognized. Only after his calligraphy was recognized by Ye-Kyeom and Samasun, envoys from the Ming Dynasty, on the lunar new year when he turned 33, did it start to draw attention. The event was followed by numerous poems on the calligraphy of prince Anpyeong. He received a number of favorable comments for the short period of time until Kaeyujungnan occurred when he was 36 years old. Many poems confirm such evaluations until now. The shared ideals with the literati let him take the lead in the artistic thoughts of the time. The literati s criticisms about poems by prince Anpyeong pointed to his failure to unite poetry, calligraphy and drawing with the law of heaven. The unity of poetry, calligraphy and drawing with the law of heaven is called SiSeoHwa-ilrul . This is not just about theory, but pursuit of poetry, calligraphy and drawing all reaching highest and ideal levels through gatherings like a poetry club. What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is communication and sympathy between prince Anpyeong and the literati of Early Joseon Dynasty with poetry, calligraphy, and drawing. This is what constitutes the literature-oriented leadership of prince Anpyeong, allowing him to lead the splendid culture during the reign of Sejong. A custom in which major officials and scholars participate through poetry, calligraphy, and drawing best blossomed during this time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시(詩)의 경향(傾向)과 문예 지향적 리더십
Ⅲ. 사대부들의 안평대군 글씨에 대한 재인식
Ⅳ. 시·서·화 일률의 추구
Ⅴ.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기범(Lee, Gi-bum). (2019).조선전기 사대부의 시문(詩文)에 나타난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예술세계. 서예학연구, (34), 5-34

MLA

이기범(Lee, Gi-bum). "조선전기 사대부의 시문(詩文)에 나타난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예술세계." 서예학연구, .34(2019): 5-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