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경(茶經)』 「육지음(六之飮」에 나타난 의례양식

이용수 126

영문명
The Form of Ceremony Appeared in the Sixth Chapter for Drinking in The Classic of Tea book Cha Ching
발행기관
한국차학회
저자명
오명진(Myung-Jin Oh)
간행물 정보
『한국차학회지』제25권 제1호, 29~3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에서 고대국가체계가 이루어지고 예제(禮制)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통치자는 제사의식을 통하여 통치권과 신분을 보장받았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권위와 상징을 위해 ‘의(義)’와 ‘예(禮)’가 규범화되었고, 신과 연결시키는 매개체로서의 정화된 음식이 필요하였다. 대체로 상나라시대로부터 술은 수곡의 정화를 담고 있는 맑은 음료로 인식되며 제사에 사용되었다. 차의 경우 적어도 서한시기부터는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사용형태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점차 음료화되었으며, 차는 이러한 과정에서 종종 술과 함께 인식이 공유되거나 비교되어 술과 교차적으로 사용되어 온 측면이 있다. 특히 당대 세계 최초로 차에 관한 전문내용으로 이루어진 『다경(茶經)』이 저작된 때로부터 술의 위치를 대신하는 면이 유독 두드러졌다. 이후 『다경(茶經)』에 대한 주해서가 많이 편찬되었으나 오늘날 「육지음(六之飮」에 대한 해석은 연구자마다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고는 『다경(茶經)』「육지음(六之飮」의 내용은 차를 끓이고 마시는 품차(品茶)에 목적이 있다기보다 의례적 행위에 더 큰 추구점이 있다고 보았다. 즉, 시대적 소명에 의해 전통적으로 제사 및 연회 등에서 실행되던 음주의례형식을 차로 대체하여 검약한 의례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의도로 「육지음(六之飮」은 쓰여진 것이다. 결과적으로 「육지음(六之飮」의 마지막 구절에서 뜻하는 의미는 한 완의 차를 순서대로 돌려가며 마시는 공음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연이어 세 번을 반복하는 의례형식을 말한 것이다. 오늘날 일부 음주문화와 일본의 다도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영문 초록

In ancient China, rulers secured their sovereignty and status by conducting rites in the course of systematizing the ancient state and national rituals. Therefore, for effective authority and symbolization, ceremony/form and manner/courtesy were normed, and foods for mediums of connection with gods were required. Since the Shang dynasty, alcohol has been used in rituals because it was generally recognized as a clear drink containing the purification of grains. Tea was used at least since the Han dynasty, but the clear form or purpose of its usage has not been clarified to date. However, tea gradually became a beverage, and in this process, there was a shared recognition or comparison with alcohol so that tea also became used across necessities for rites. The phenomenon of tea replacing alcohol became a manifest when Cha ching, the world-first monograph full of intimate knowledge about tea, was written in the Tang dynasty. Although many annotation books were published afterwards, the last passage, of the six chapter has been interpreted differently among researchers. In this articl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xt of the six chapter did not aim at simply brewing and drinking tea, but rather at the pursuit of ceremonial performance. It was intentionally written with a certain spirit of the age, in order to establish frugal culture of ceremonies by replacing alcohol with tea in rites and banquets. Thus, the last passage of the six chapter indicates the manner of drinking a bowl of tea in sequence, which is to repeat it three times as a ceremonial convention.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명진(Myung-Jin Oh). (2019).『다경(茶經)』 「육지음(六之飮」에 나타난 의례양식. 한국차학회지, 25 (1), 29-38

MLA

오명진(Myung-Jin Oh). "『다경(茶經)』 「육지음(六之飮」에 나타난 의례양식." 한국차학회지, 25.1(2019): 29-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