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저학년 하교시간에 관한 비교와 조사 연구

이용수 566

영문명
A Study on the Extension of School Time for the Lower Grades of Prim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김미진(Kim, Mi-jin) 홍후조(Hong, Hoo-jo)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9권 제1호, 77~10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돌봄 공백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정부에서 제안한 하교시간 연장 문제를 교육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초등 저학년 하교시간과 수업시수에 대한 교육과정 및 교육정책 상의 가능한 대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교시간을 포함한 학교 일정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와 초등 저학년 하교 시간 연장에 관한 현직 교사와 해당 학령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의견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6개국의 초등 저학년의 하교시간 국제비교 결과, 우리와 유사하게 이른 하교시간을 보완하기 위한 방과후 활동을 제도화한 유형(일본, 핀란드), 이른 하교시간을 보완하는 지역별 선택적 전일제학교를 운영하는 유형(독일, 키프로스공화국), 초중등생이 모두 오후 3시 이후 늦은 하교시간을 하되 중등생이 초등생을 돌볼 수 있는 유형(미국, 캐나다)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 저학년의 하교시간 조정과 돌봄의 주체, 시간 길이, 장소, 프로그램, 교사의 부담, 책임소재 등 각종 교육문제에 관한 의견조사 결과, 하교시간 연장에 관하여 교사는 대체로 거의 모든 항목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이었고, 학부모들은 중간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나 맞벌이 가정의 돌봄 공백 문제를 해소하고 사교육 부담을 덜기 위한 이유로 하교시간 연장에 찬성하였다. 연장된 학교시간에 운영할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오후 시간에 외부 강사를 활용하여 선택 수업을 하는 방과후학교형, 추가적으로 학습할 영역으로 기초기본 교육과 예술ㆍ체육을, 시수를 증배 운영할 영역으로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가장 많이 동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론적으로 필요한 가정이 이용할 수 있도록 사회적 돌봄의 확대 필요성, 실현가능성 높은 방과후 학교와 초등돌봄교실의 강사와 프로그램의 질 개선, 전일제 학교의 경우 오전학교와 오후학교의 책임 소재와 운영 주체의 분리 요구를 확인하였다. 끝으로, 방과후 아동의 생활상에 대한 연구, 초등교사의 정규수업시간 법제화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sion of school time proposed by the government in response to the phenomenon of caring cliffs in primary school. To suggest possible alternatives in the curriculum and education policy about home time and class hours for the lower grades, we conducted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school schedule and a survey of teachers and parents’ opinions on the extension of school time. As a result of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though the school time of each was different, there were programs available for the families in need.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teachers were generally opposed to the extension of school time, the parents were in the middle. Parents agreed extension of school hours for dual-income families and reducing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social caring service accessible by families in need. Second, after-school type is the most feasible way, All-day school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school on premise. Third, in order to reduce teacher work and to ensure the quality, we proposed separating the responsibility and management of after-school from the school and networking after- school care in the local government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해외 초등학교의 일정 사례 비교
Ⅲ. 초등 저학년 하교시간 연장에 관한 의견 조사
Ⅳ. 논의 및 대안 탐색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진(Kim, Mi-jin),홍후조(Hong, Hoo-jo). (2019).초등 저학년 하교시간에 관한 비교와 조사 연구. 비교교육연구, 29 (1), 77-109

MLA

김미진(Kim, Mi-jin),홍후조(Hong, Hoo-jo). "초등 저학년 하교시간에 관한 비교와 조사 연구." 비교교육연구, 29.1(2019): 77-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