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성장기 부모화 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공동의존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115

영문명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during Childhood on Social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Codependency –
발행기관
한국통합치료학회
저자명
이현경(Lee, Hyun-kyung) 홍혜영(Hong, Hye-young)
간행물 정보
『통합치료연구』제9권 제2호, 27~5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장기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간의 관계에서 공동의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으며, 성장기 부모화 경험의 하위차원인 물리적 부모화, 정서적 부모화, 그리고 불공평으로 구분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405명을 대상으로 부모화(Parentification), 사회 불안(Social Anxiety), 공동의존성(Codependence)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2.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기 부모화 경험의 하위 차원인 물리적 부모화, 정서적 부모화, 불공평 부모화 경험은 모두 공동의존성과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성장기 부모화의 하위 차원인 물리적 부모화, 정서적 부모화, 불공평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공동의존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적 부모화와 불공평 부모화의 관계에서는 매개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물리적 부모화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공동의존성이 정서적 부모화, 불공평 부모화와 사회불안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지만, 물리적 부모화는 사회불안에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쳤지만, 공동의존성과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성장기 부모화 경험이 공동의존성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였으며, 부모화 경험의 하위차원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관하여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mediation effect of parentification in childhood and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dependency in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405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is study, the Filial Responsibility Scale-Adult, Korean version Codenpendency Test, Social Interaciton Anxiety Scale, and Social Phobia Scale were all utiliz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both SPSS 22.0 and AMOS 2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ification showed a signification positive correlation with codependency and social anxiety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arenfication, codependency, and social anxiety. In addition, among the subtypes of parentification, physical parentification and emotional parentification, injusti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dependency and social anxiety. Second, codependency is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types of parentification in childhood and social anxiety. This was found after investigating the mediation of codenp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arentification / injustice, while physical parentification did not indicate the same. Specifically, codependency is fully-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emotional parentification and injustice, as well as social anxiety, but physical parentific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ocial anxiety. In addition, it did not mediate in codependency. These findings proved that parentification during childhood, considering codependency and social anxiety, and for emotional parentification / injustice in the parentification subtypes,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ill b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경(Lee, Hyun-kyung),홍혜영(Hong, Hye-young). (2018).대학생의 성장기 부모화 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공동의존성의 매개효과-. 통합치료연구, 9 (2), 27-50

MLA

이현경(Lee, Hyun-kyung),홍혜영(Hong, Hye-young). "대학생의 성장기 부모화 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공동의존성의 매개효과-." 통합치료연구, 9.2(2018): 27-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