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년기 빈곤이 계층의식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1112

영문명
Povert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ediation effect of Subjective Social Status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김준범(Kim, Joon Beom) 장대연(Jang, Dae Yeon)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9권 1호, 93~10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절대 및 상대빈곤 여부가 노인거주 형태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주관적 계층의 식의 매개효과를 종단으로 검증하고 독거 및 동거노인의 대별되는 특성을 분석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입의 단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고령화연구패널 3차∼5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동거노인 3,327명, 독거노인 66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3년 기준 동거노인의 절대빈곤은 전체의 43.5%, 상대빈곤은 51.4%로 나타난 반면 독거노인의 경우 절대빈곤층은 전체의 63.8%, 그리고 상대빈곤층은 77.2%에 육박하여 노인빈곤의 실태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거노인의 경우 절대 및 상대 비빈곤층 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독거노인의 경우, 빈곤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거노인의 노년기 절대 및 상대빈곤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주관적 계층의식은 매개효과를 가지나 독거노인의 경우 상대빈곤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빈곤 독거노인에 대한 개입에 있어 소득빈곤뿐만 아니라 다차원적 빈곤의 관점으로 접근해야 함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차원적 빈곤지표를 활용한 빈곤측정 도구 마련 등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bsolute / relative poverty on the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subjective social status by type of elderly residents. In order to analyz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3,327 the elderly living together and 668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from 3rd to 5th wave data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ch poverty rate for the elderly living together accounted for 43.5 percent and 51.4 percent, while 63.8 percent and 77.2 percen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respectively. Second,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the elderly living together than living alone, However, life satisfaction was not related to condition of poverty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Third, absolute / relative poverty were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together,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had a mediating effect. However, relative poverty was not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which indicated that it needs to support not only the financial approach to overcome absolute poverty but also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perspective in the interven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o make a tool to measure of poverty using multi-dimensional poverty indica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준범(Kim, Joon Beom),장대연(Jang, Dae Yeon). (2019).노년기 빈곤이 계층의식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9 (1), 93-108

MLA

김준범(Kim, Joon Beom),장대연(Jang, Dae Yeon). "노년기 빈곤이 계층의식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9.1(2019): 93-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