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배우자 사별여부와 복잡성비애 수준이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83

영문명
The Effects of Spousal Bereavement and Complicated Grief on Death Anxiety among Older Adults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김경희(Kim, Kyung Hee) 유지영(Lyu, Jiyoung)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9권 1호, 21~3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배우자 사별여부와 복잡성비애 수준이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죽음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개입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에 사용된 연구표본은 2014년 춘천노인생활실태 조사 자료의 65세 이상 노인 1,998명이다. 종속변수는 죽음불안(DAS-K), 독립변수는 배우자 사별여부와 복잡 성비애(ICG-K) 수준이며,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건강관련 변수를 통제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배우자 사별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해 정상 비애군(normal grief)은 죽음불안 수준이 낮으며(p<.05), 복잡성 비애군(complicated grief)은 죽음불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즉, 죽음불안에 가장 위험한 요인은 ‘배우자 사별’보다는 ‘복잡성 비애’라고 할 수 있다. 사별 자체는 보편적인 경험이라고 해도 사별 후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나 증상의 심각도 및 지속기간은 보편적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복잡성비애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사별자 대상 상실․애도프로그램과 사별자 자조모임 등이 확산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s of spousal bereavement and complicated grief level on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The sample consisted of 1,998 adults who were aged 65 or older.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with the Death Anxiety Scale-Korean version (DAS-K). In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with both spousal bereavement and the Inventory of Complicated Grief-Korean version (ICG-K).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adjusting for demographics, psycho-social and health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ath anxiety level was lower among the bereaved with normal grief (p<.01) than non-bereaved. In contrast, death anxiety level was higher among the bereaved with complicated grief than non-bereaved (p<.01). The study result suggests that the most risky factor for death anxiety is complicated grief rather than the bereavement. Although the bereavement can be a universal experience, the severity and duration of symptoms after the bereavement may not be general. The unhealed emotional and physical pain after the bereavement stimulates death anxiety, and senior citizens who suffer from complicated grief often fail to integrate the bereavement and loss into reality, therefore, may not accept the death phenomenon itself. Anxiety and fear of death can emerge when they cannot acknowledge the bereavement. To manage complex sorrows and mitigate death anxiety,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adaptability to the berea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희(Kim, Kyung Hee),유지영(Lyu, Jiyoung). (2019).배우자 사별여부와 복잡성비애 수준이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9 (1), 21-35

MLA

김경희(Kim, Kyung Hee),유지영(Lyu, Jiyoung). "배우자 사별여부와 복잡성비애 수준이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9.1(2019): 2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