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 강점기(1910-1945) 동안의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프랑스 정부의 정책

이용수 12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저자명
정상천
간행물 정보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26집 제2호, 219~25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2.28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10년 한ㆍ일 합방에 따라 한국은 국권을 상실하였고 한반도는 일제의 무단 식민지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 1919년 국권회복을 위한 3ㆍ1 독립운동을 계기로 국내외에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며, 민족의 독립을 위한 역량을 결집하기 위하여 1919년 9월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통합되었다. 상해 프랑스 조계에 우리 임시정부가 수립된 이유는 프랑스의 전통적인 정치적 망명자 보호정책에 의지하여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이 일제의 탄압을 벗어나 자유롭게 독립운동을 하고자 함이었다. 프랑스 정부는 간접적으로 한국 임시정부의 활동을 지원하였으며, 드골 장군이 수반으로 있던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는 중경주재 우리 임시정부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 한반도에 대한 이해관계가 미미하였던 프랑스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공식적으로 승인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de facto) 승인을 함으로서 열강의 지원이 필요했던 우리 독립운동가들에게 희망과 힘을 주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한국 임정을 일제로부터 해방될 때까지 끝내 공식적으로 승인해 주지는 못하였다. 이는 2차 세계대전 이후 갓 열강의 지위를 회복한 프랑스가 극동문제 해결의 헤게모니를 쥐고 있었던 미국과 러시아의 입장을 무시하고 독자적으로 한국 임시정부를 승인할 위치에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한ㆍ불 양국 임시정부간의 긴밀하고 우호적인 관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한반도에 대한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미미하였던 것에도 원인이 있었다.

영문 초록

With the treaty of 1910, for the Korea-Japan Annexation, Korea had lost her sovereignty and was placed under a Japanese colonial regime. Spurred by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1, 1919, several provisional governments of Korea were established in and outside of the Korean peninsula. These were finally unified in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PGRK) in Shanghai, China, in September, 1919. The reason why the PGRK was established in Shanghai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France was traditionally renowned for her tradition of protecting political refugees. The Korean revolutionary leaders in Shanghai, relying on the tolerance of the French consulate general in Shanghai, planned to launch an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the Japanese oppression. The French government had indirectly supported the PGRK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France(PGRF) headed by General de Gaulle,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 with the PGRK in Chungking, China. Despite the close and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PGRK and the PGRF, France did not officially recognize the PGRK until the liberation of Korea. Even though she had only de facto recognized the PGRK, this gave moral support to the Korean revolutionary leaders who were in desperate need of support from the Allied powers. But, on top of all this, France could not officially recognize the PGRF. This was due mainly to the fact that France herself didn’t fully recover from the aftermath of the Second World War and what’s more, she was not in a position to challenge the hegemony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the North East Asia reg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을사보호조약 및 한ㆍ일 합방에 대한 프랑스 정부의 입장
Ⅲ.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상해 프랑스 조계 수립과 한ㆍ불 관계
Ⅳ. 프랑스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여부
Ⅴ.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상천. (2005).일제 강점기(1910-1945) 동안의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프랑스 정부의 정책.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6 (2), 219-252

MLA

정상천. "일제 강점기(1910-1945) 동안의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프랑스 정부의 정책."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6.2(2005): 219-2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