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19와 장면정부의 수립: 『사상계』의 당대 정치담론을 통해 본 재고찰

이용수 91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저자명
전상숙
간행물 정보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32집 제1호, 41~7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사상계』의 당대 정치담론을 통해서 4∙19와 그 결과 출범한 장면정부의 수립에 대해서 재고찰하여, 현대 한국 사회를 성찰해보고자 하였다. 엄밀한 의미에서 4∙19는 혁명이라 할 수 없다. 그러나 당시 4∙19를 ‘혁명’이라 한 것은, 시민혁명의 의미를 한국사회의 정치적 경험과 현실 속에서 적극적, 긍정적으로 해석하여 주체적으로 자유민주정치체제를 정립 해가고자 한 의지의 표현이었다. 민중이 자발적인 집합행동으로 여론을 표시할 수 있었다는 자각성, 진정 하나의 민주‘혁명’을 치루었다는 감회를 되새겨 민주정치를 이룩해 나가는 계기로 삼고자 한 강한 의지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4∙19의‘결과, 성과로서의 혁명’의 현실은 달랐다. 4월‘혁명’을 주동한 학생은 직접 정치의 담당자가 아니었고, 기성세대는 누구도 직접 그 혁명의 의지를 완수하고자 나서지 않았다. 학생운동에 동참하여 지향으로서의‘혁명’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대학교수로 대표되는 지식인도 마찬가지였다. 그들은 장면총리가 제한적 선택의 기로에서 아무 선택도하지않은것과마찬가지로,‘ 혁명완수’의차원에서어떠한실질적 인행동을하지않았다. 과연지식인의소임,‘ 비판적’기능의사회적소임이란 무엇이며 어디까지인가. ‘혁명’이라 이름한‘4∙19정신’은 민주주의의 공고화를 지향하는 현재 여전히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시대의 지식인의 존재와 존재의미와 함께, 정치 지배세력과 여론의 관계를 다시 되돌아보게 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rethink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rough the political discourses of ‘SaSangGye’ on 4∙19 and the establishment of Chang Myun government. 4∙19 can not be said as ‘revolution’, strictly speaking. However, it was named ‘revolution’ at that time. It was the representation of Koreans’ will to subjectively establish liberal democratic political system, active and positively interpreting the meaning of civil revolution in their political experience. It was the strong will that they wanted to make 4∙19 as the footstone to start democratic politics thinking over the recognition that Korean masses could represent their will by collective behavior and they accomplished practical democratic ‘revolution.’ Nevertheless, the reality of the result, the outcome of ‘the revolution’ of 4∙19 was different. The prime movers of April revolution were students. They could not participate in politics. And any one of the older generations did not come out to take charge in the accomplishment of ‘the revolution.’ Neither, the professors who did decisive role to make the April student movement as ‘revolution’ participating in the students’ side. Intellectuals did not do any kind of real political action as like prime minister Chang Myun did not any choice in the limited crossroad. What is the task, mission of the intellectuals? What is the so called ‘critical function’ of intellectuals? The sprit of 4.19 which named April student movement as ‘revolution’ is still meaningful in this time to make Korean democracy more solid and stable. The political discourses of April revolution makes us rethink intellectuals’ role and its’ meaning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leaders and public opinion.

목차

Ⅰ. 머리말
Ⅱ. 4∙19‘ 혁명’의의미와제2공화국의소임
Ⅲ.‘ 혁명’과과도정부,‘ 선개헌후총선’의현실적기능
Ⅳ. 7∙29 선거의 정치적 함의와 민주당 장면정부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상숙. (2010).4∙19와 장면정부의 수립: 『사상계』의 당대 정치담론을 통해 본 재고찰.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2 (1), 41-74

MLA

전상숙. "4∙19와 장면정부의 수립: 『사상계』의 당대 정치담론을 통해 본 재고찰."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2.1(2010): 4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