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6세기 朝鮮의 朱子學 鄕政論 수용과 鄕約 - 鄕約의 시행 방식과 성격의 分岐를 중심으로 -

이용수 205

영문명
The 16th Century Joseon Acceptance of the Local Official’s Administrative on of the Chu-tzu’s Doctrine (朱子學 鄕政論) and Hyang’yak (鄕約) - Focused on the Methods and Divergence in the Hyang’yak’s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정신(Kim, Jeong-shin)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85집, 105~14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6세기 조선은 농업 생산력 발전 단계와 함께 수조권 분급제의 소멸, 지주제의 전면적 부상을 기반으로 향촌사회에서 사족의 영향력이 점차 증대되는 가운데, 그들의 정치세력화가 가속 화되는 시기였다. 이 과정에서 15세기 후반 무렵 중앙 정부에 대한 ‘鄕’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의식이 대두하였고, 관권의 지나친 통제와 간섭에서 벗어나 향촌사회의 위상을 재정립하려는 사족의 노력이 가속화하였다. 그 노력은 관권과 상충되지 않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향에서 마련되어야 했다. 이때 향약은 향촌에 대해 중앙집 권적 통제를 가하고자 하는 국가에 대해서, 그리고 아래로부터 꾸준히 성장하며 신분적 위계질 서를 위협하고 있었던 민에 대해서 사족이 ‘권 위’를 창출하고 영향력을 지속시킬 수 있는 방안 으로서 재조명되고 있었다. 다만 향약의 시행 방식과 성격을 두고 사림 세력 내부에서는 향약의 기원과 및 내용을 다르게 설정하는 두 흐름이 있었다. 크게 보아 향약을 국가적 차원에서 공적 기구화 하여 전국에 일원적으로 보급하려는 흐름과 一鄕 단위 士族 의 자치 규약으로서 개별적으로 시행하려는 흐름이 그것이다. 전자는 향약을 오가통·면리제와 연계하여 향약을 공적 통치기구로 전환시키고 사족이 국가권력에 직접 적극적으로 편입해 들어감으로써 향촌 통치를 수령―향약의 일원적인 통치체계로 통일시키고, 이로써 향촌 내부의 일원적이고 직접적인 통치체계를 강화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반면 후자는 향약을 매개로 사족 간의 공동체적 유대관계·상호결속을 기하고 향의 도덕적 자율성을 부각시키는 방안이었다. 그리하여 사족의 자발적 도덕성의 발휘와 수령의 관정에 적극 협조하는 자발적 자세를 통하여 향 촌 지배를 둘러싼 사족과 국가 간 상호 이해를 일치시키고 조화로운 조화로운 공존을 모색하 고자 하였다. 16세기 향약의 시행 방식과 성격을 둘러싸고 벌어진 논쟁과 견해의 분기는 향약을 매개로 사족 대 관권, 사족 대 농민층 간의 중첩된 대립 관계를 해소시키되, 관권이 의도하는 집권적 향정과 사족이 의도하는 자율적 향촌질서를 어떠한 방식으로 접목시켜 수령과 사족의 ‘共治’를 이룰 것인가를 두고, 사족 내부에서 서로 다른 인식과 시행 방식의 차이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e 16th century Joseon, there were two trends for the origins and the implementation methods of the hyang’yak, and according to the tre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organization and characteristics. The two trends can largely be divided into the trend that sought to unitarily distribute the hyang’yak around the country by making it a public organization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trend that sought to implement the hyang’yak individually as autonomous regulations of the sajok at the village level. The first trend strengthened the unitary and direct governing system within the hyangchon(rural village) by unifying the hyangchon governance into a unitary governing system of suryeong-hyang’yak(district-rural village) in which the hyang’yak would be connected to the five ruling family system(五家統) and the myeon and li system(面里制) to transform the hyang’yak into a public governing organization and the sajok directly and actively being incorporated into the central authority. However, the latter trend wanted to adhere to the autonomy of the sajok in hyang’chon through self-control using the hyang’yak as mediation. The interven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authority in accordance with the law would proceed by the premise that the suryeong and the provincial noble family was a relationship of government and people(官民) and sovereign and subject(君臣) on principle as a heteronomous vertical code. Thus, this trend made sajok to display morality and an attitude to cooperate with the suryeong autonomously by implementing hyang’yak at the level of one village, to mutually understand between sajok and the central government governing the hyangchon.

목차

1. 머리말
2. 16세기 鄕約 시행의 배경
1) 도덕적 위상의 提高 노력과 道‧義의 出處論
2) 官 주도 鄕政論의 강화와 豪强律
3. 朱子學 鄕政論의 수용과 鄕約 보급 운동의 推移
1) 朱子學 鄕政論과 朱子增損呂氏鄕約
2) 鄕約보급운동과 시행 推移
4. 鄕約의 시행 방식과 성격의 分岐
1) 公的 통치기구로서의 鄕約과 全國 단위의 시행
2) 私的 자치규약으로서의 鄕約과 一鄕 단위의 시행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신(Kim, Jeong-shin). (2018).16세기 朝鮮의 朱子學 鄕政論 수용과 鄕約 - 鄕約의 시행 방식과 성격의 分岐를 중심으로 -. 동방학지, 185 , 105-144

MLA

김정신(Kim, Jeong-shin). "16세기 朝鮮의 朱子學 鄕政論 수용과 鄕約 - 鄕約의 시행 방식과 성격의 分岐를 중심으로 -." 동방학지, 185.(2018): 105-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