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3‧1 운동과 깃발

이용수 163

영문명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Flag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이기훈(Lee, Ki-hoon)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85집,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회운동의 경험은 다양한 미디어와 결합하여 상징체계를 구성하고 대중들에게 새로운 시대와 주체의 감각을 부여한다. 3‧1 운동은 근대 한국의 미디어 체계에 중대한 변화를 일으킨 사건이었다. 3‧1 운동 기간 동안 다양한 미디어들이 근대성과 전근대성, 개인과 공동체를 매개하는 중층적인 미디어로 기능했다. 운동의 대표적인 미디어는 독립선언서와 깃발이었다. 그런데 이 두 미디어의 제작과 배포는 일부 겹치지만 분명히 다른 네트워크 속에서 작동했다. 독립선언서 배포의 네트워크는 기독교, 천도교 혹은 학생들의 연계처럼 근대적인 정치 이념과 균일한 특징으로 한다. 이들 사이에서 유포되는 매체들도 「독립선언서」나 독립신문처럼 동질적이고 근대화된 인쇄출판물들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역에서 실제 시위 운동을 준비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네트워크가 작동해야 한 다. 깃발과 격문은 이 과정에서 핵심적으로 등장 하는 매체들이다. 깃발들은 지역의 구체적인 상황과 민중의 현실을 반영한 시위의 도구였다. 만세가 지역으로 확산될수록 선언서에서 깃발과 격문으로 중심이 이동하게 된다. 격문과 깃발의 네트워크는 지역적 차원에서 다양한 ‘독립’ 이념의 수용 양상과 현실적 차이를 반영하며 드러내는 것이다. 3‧1 운동 이후 깃발과 선언문들은 근대적 정치성을 표방하는 수단이 되기 시작했다. 민족적 저항과 독립의 상징으로서 태극기의 성격이 확고해졌으며, 민족의 정치적 상징으로 고착되었 다. 근대적 정치 투쟁으로서 시위가 민중의 정치적 감각에 자리잡게 되었고, 이를 위한 미디어들도 3․1 운동 이후 점점 확산되었다. 깃발과 선언문, 격문과 현수막, 집회와 시위가 정치적 투쟁의 중심이 된 것이다.

영문 초록

When experiences from social movements are shared through different media, they create symbolic structures as well as open up a new era to the public with a renewed sense of ownership. The March 1st Movement brought about major changes in modern Korea and in the use of media. The most representative media was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flag.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se two forms of media operated under clearly different networks, although some overlap were observed. The distribution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carried out by religious networks of Christian and Cheondogyo(천도교) groups as well as by student networks, which are characterized by modern political beliefs and a sense of homogeneity. These networks distributed print publications that were modern and homogeneous, such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r the Tongnip Shinmum. However, in other parts of the nation, new networks had to be devised in order to prepare for the street protests. The flags and the manifestos became an important media used in this process, reflecting the specific situations and realities of the people.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flags and manifestos became representations ofthe modern politics. Korea’s national flag, the Taegukgi secured its status as the nation’s political symbol of national resistance and independence, while street protests became engraved in the political DNA of the people.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media that supported the changes were developed further; flags, manifestos, street rallies and protests have since become integral tools of political struggles in Korea.

목차

1. 머리말
2. 선언서 네트워크와 깃발/격문 네트워크
3. 만세 시위의 양상과 미디어의 유형
1) 문자 매체 주도의 시위
2) 깃발과 격문이 주도하는 시위
4. 운동자들과 정체성의 구현 – 깃발의 선언성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기훈(Lee, Ki-hoon). (2018).3‧1 운동과 깃발. 동방학지, 185 , 1-19

MLA

이기훈(Lee, Ki-hoon). "3‧1 운동과 깃발." 동방학지, 185.(2018):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