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형사소송법상 반대신문권과 증거능력의 관계

이용수 343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ght to Cross-examine and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발행기관
한국형사소송법학회
저자명
이주원(Rhee, Joo-Won)
간행물 정보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제10권 제2호, 157~19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행법상 반대신문의 기회를 보장하는 법리는 전문법칙과 (교호신문제도에 포함된) 반대신문권이다. 반대신문의 기회보장이 증거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증거마다 다르다. 우선, ‘피고인 아닌 자’에 대한 전문서류에서, 원진술자(피고인 아닌 자)가 공판기일에서 그 성립의 진정을 인정하면서도 그 진술내용을 탄핵하려는 반대신문에 대하여 묵비한 경우이다. 이는 증인에 의해 실질적인 반대신문의 기회가 봉쇄되는 경우이다. 첫째, 제312조 제4항이 적용되는 진술조서의 경우에는 반대신문의 기회보장이 증거능력의 요건으로 명시되어 있으므로 증거능력이 없다. 원진술자의 법정출석 및 반대신문이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에는 설령 제314조(증거능력에 대한 예외) 또는 제318조(당사자의 동의와 증거능력)에 따라 증거능력이 인정되더라도, 그 증명력은 제한된다. 둘째, 제313조 제1항이 적용되는 일반 진술서 내지 진술기재서의 경우에는 반대신문의 기회보장이 증거능력의 요건은 아니므로, 진정성립을 인정한 이상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에도 그 증명력은 제한될 여지가 있다. 셋째, 제314조의 적용 여부는 증언거부 유형과 대상 증거에 따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원진술자의 묵비가 정당한 증언거부권의 행사인 경우에는 제314조가 적용되지 않는다. 원진술자의 묵비가 정당한 이유 없이 사실상 증언을 거절 한 경우에는, ① 반대신문의 기회보장이 증거능력의 요건인 전문서류에 대해서는 제314조가 적용되지 않지만, ② 반대신문의 기회보장이 증거능력의 요건이 아닌 전문서류에 대해서는 제314조가 적용된다. 한편, 법정진술인 경우에는 그 사정이 다르다. 피고인 아닌 자가 공판기일에서 증인으로 증언하면서 그 증언내용을 탄핵하려는 반대신문에 대하여 묵비한경우에도, 법정증언 자체는 증거능력이 인정된다. 마지막으로, 반대신문권은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의 핵심적인 내용으로 그절차적 보장이 중요하다. 증거능력의 문제를 떠나, 실질적인 ‘무기평등’ 차원에서 그 절차적 권리로서의 기능이 더욱 존중되고 강화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legal principles that guarantee the opportunity to cross-examine are the hearsay rule and the right to cross-examine (included in the cross-examination system). Guaranteeing the opportunity of cross-examination effect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and such effect differs according to what the evidence is. First of all, regarding the documentary hearsay of a ‘person other than the criminal defendant’, the case is that the person making the original statement (person other than the criminal defendant) admits the authenticity of its formation during the trial but keeps silent as to the cross-examination impeaching the content of its statement. This is the case where the opportunity for an actual cross-examination is blocked by a witness. Firstly, admissibility of evidence is denied in the case of a protocol of statement in which Article 313 (4) applies, since guaranteeing the opportunity to cross-examine is a requirement for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such Article. In a case where the person making the original statement fails to attend the trial and no cross-examination was made, although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s acknowledged pursuant to Article 314 (Exception to Admissibility of Evidence) or Article 318 (Agreement of Parties and Admissibility of Evidence), its probative value of evidence would be limited. Secondly, admissibility of evidence is admitted in the case of a written statement or testimony document in which Article 313 (4) and its authenticity of formation are admitted, since guaranteeing the opportunity to cross-examine is not a requirement for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such Artic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probative value of evidence would be limited in this case. Thirdly, it is necessary to classify whether Article 314 appli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refusal to testify and what kind of evidence it is. Article 314 does not apply in the event that the silence of a person making the original statement is a lawful exercise of a right to refuse to testify. In the event that the silence of a person making the original statement is a refusal to testify without a justifiable cause, ① Article 314 does not apply to a documentary hearsay whose admissibility of evidence requires guaranteeing the opportunity to cross-examine, whereas ② Article 314 applies to a documentary hearsay whose admissibility of evidence does not require guaranteeing the opportunity to cross-examine. Turning to the statement at trial, the situation is different. In the event that a person other than the criminal defendant testifies as a witness during the trial but keeps silent as to the cross-examination impeaching his testimony,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regarding the trial testimony itself is admitted. Finally, right to cross-examine is the essence of the right to fair trial, and ensuring its procedure is important. Apart from the issue of admissibility of evidence, it is necessary to respect and strengthen the function of such procedural right even more in view of achieving actual equality of opportunity in the procedures.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형사소송법상 반대신문권의 의의
III. 반대신문권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
IV. 현행법상 반대신문권의 법적 지위
V. 반대신문의 기회보장과 증거능력의 관계
VI.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원(Rhee, Joo-Won). (2018).형사소송법상 반대신문권과 증거능력의 관계.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10 (2), 157-190

MLA

이주원(Rhee, Joo-Won). "형사소송법상 반대신문권과 증거능력의 관계."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10.2(2018): 157-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