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서조절과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보호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이용수 903

영문명
The Dance movement therapy for improving emotional control and expressive ability
발행기관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저자명
박진선(Jin-Sun PARK)
간행물 정보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제2권 제2호, 41~5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무용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설보호아동의 정서조절과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무용동작치료를 실증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해 A시 소재 H보육원(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는 7세∼9세 사이의 13명 아동 중 임상심리사와 면담을 통해 보육원 안에서 잦은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 5명을 대상으로 2017년 6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1회당 60분, 총 15회에 걸쳐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정서조절척도를 실시하여 아동의 자기조절과 타인조절을 특정하여 비교하였고, 프로그램 초기·후기에 비디오 분석으로 무용동작 관찰 분석을 통해 아동의 표현능력을 움 직임 변화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보호아동에게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정서조절이 향상되었다. ‘정서조절척도’를 통해 측정한 결과 아동들의 자기조절과 타인조절이 상당히 향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실시 결과, 표현능력이 향상되었다. ‘무용동작 관찰 분석’의 4가지 범주(신체, 움직임, 표현력, 관계성)를 통해 분석한 결과 아동들의 표현능력이 향상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셋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실시 결과, 정서조절과 표현능력의 향상이 아동들의 실생활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임상심리사의 정서행동 사전. 사후 변화 관찰을 통해 보육원 안에서의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있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문제상황에서는 적절히 자신을 표현하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group dance/movement therapy using fairy tales on anxiety reduction and social improvement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children. For this purpose, four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who hav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using the J Public Health Center of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in S city are screened for 16 times(80 minutes for 1 time) from January 2017 to May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stage of the program consists of a process of expressing oneself freely and forming the foundation of social relations by recognizing outer circumstances and others, through various spatial recognition plays and body plays that awaken the body senses. The second stage consists of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expressing the emotions (inner anxiety, fear, anger, sadness, etc.) that children experience in real life through the virtual role play that expresses various emotions using the metaphorical elements of assimilation. The third stage consists of reconstructing the story with the symbolic theme of fairy tale and improving the creative sociality through active imagination play through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At each stage, we observed a qualitative change in children’s movements based on Laban Movement Analysis(LMA),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RCMAS) and the ‘Korea children and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This study compared the anxiety and sociality of childr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진선(Jin-Sun PARK). (2018).정서조절과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보호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2 (2), 41-56

MLA

박진선(Jin-Sun PARK). "정서조절과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보호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2.2(2018): 4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