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로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건강이상과의 관련성

이용수 709

영문명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Problem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학회
저자명
김준호(Kim Junho) 장세진(Chang Sei-Jin)
간행물 정보
『보건과 사회과학』제31집, 5~2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번 연구는 근로환경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를 세분화하여 근로자의 어떠한 건강이상과 관련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6년 취업자 근로환경’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취업기간이 1년 이상인 전국의 만 20세 이상 임금 근로자 6,9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위해작업환경, 신체적 부담,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결여, 직업불안정, 보상부적절, 감정노동 등 7개 영역에 대하 조사하였고, 각 직무 스트레스 영역은 3분위수에 의거 저, 중, 고 3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로지스틱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건강이상 간의 교차비를 구하였다. 분석 결과, 근로환경에 따른 고위험 직무스트레스 노출 근로자는 위해작업환경 35.1%, 신체적 부담 34.4%, 직무요구도 35.1%, 직무자율성결여 37.8%, 직업불안정 37.8%, 보상부적절 25.2%, 감정노동 22.7%였다. 근로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직업특성, 건강행태를 보정한 후 근로환경별 고위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이상과의 교차비를 분석한 결과, 남성 근로자의 전반적인 건강은 1.51배~2.54배, 육체적 건강 1.56배~2.57배, 정신적 건강 1.87배~2.33배, 손상 1.78배~3.30배 높았으며, 여성근로자의 전반적인 건강은 1.56베~2.79배 육체적 건강 1.40배~3.14배, 정신적 건강 1.47배~2.79배, 손상 2.46배~6.39배 높았다. 근로자가 어떠한 근로환경에 노출되어 있느냐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건강이상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업무 중 주로 노출되는 근로환경에 따른 근로자의 신체적, 정신적 긴장감 완화와 심리적 부담감을 줄이기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has documented that job stress increases the risk of adverse health outcom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agnitude of job stress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 and to examine its impact on employees health outcomes. Data were from the ‘2006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A total of 6,793 waged employees who aged 20 years and over, and were working at least for one year. Job stress consists of seven domains, hazardous working environment(11 items), physical overload(5 items), work demand(5 items), lack of job control(5 items), job insecurity(1 item), insufficient reward(4 items) and emotional labor( 1 item). Seven domains of job stres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 using the tertile(low risk group, moderate group, and high risk group). Ill health (adverse health outcome) was categorized in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occupational injury during the past one yea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ill health. All statistics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ver 18.0), a p<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As a result, 22.7-35.1% of total sample were the high risk group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 The proportion of the high risk group was higher in female than in male.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was associated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ill health, and occupational injuries after adjustment for the demographcs, job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In male employees, job stress is more likely to increase the risk of general ill health (OR: 1.51~2.54), physical ill health(OR: 1.56~2.57), psychological ill health(OR: 1.87~2.33), and occupational injuries(OR: 1.78~3.30). In female, job stress is more likely to increase the risk of general ill health(OR:1.56~2.79), physical ill health(OR: 1.40~3.14), psychological ill health(OR:1.47~2.79), and occupational injuries(OR: 2.46~6.39). This result suggests that job stress plays a pivotal role in developing ill health and occupational injuri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make an endeavor to reduce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den of employe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준호(Kim Junho),장세진(Chang Sei-Jin). (2012).근로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건강이상과의 관련성. 보건과 사회과학, 31 , 5-24

MLA

김준호(Kim Junho),장세진(Chang Sei-Jin). "근로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건강이상과의 관련성." 보건과 사회과학, 31.(2012): 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