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인의 마음건강:

이용수 175

영문명
Mind health in Korea: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network types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학회
저자명
구혜란(Hearan Koo) 박상희(Sang-Hee Park)
간행물 정보
『보건과 사회과학』제43집, 33~6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은 압축적 근대화의 사회구조와 사회관계 변화 속에서 개인의 사회지원망이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사회지원망의 구조가 개인의 마음 건강과 어떤 관계가 있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은 사회지원망이 신체건강 및 심리적 건강과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대체로 특정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한국인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경험적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며, 사회적 지 원의 기능적 측면과 연결망 속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기존 논의를 보완한다. 또한 마음건강을 감정과 기능, 상태와 과정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2015년 수집된 사회정신건강 조사자료이다. 분석방법은 잠재집단분석과 다변량분산분석(MANOVA)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인의 사회지원망 유형은 배우자중심형, 가족-친구친지 분화형, 친구친지중심형, 제한적 지원망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사회지원망 유형에 따라 마음건강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배우자중심형에 속한 사람들의 마음건강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가족-친구친지 분화형, 친구친지중심형, 제한적 지원망형 순이었다. 마음 건강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들 모두 지원망 유형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부정정서와 심리적 번영(flourishing)에서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배우자중심형에 속한 사람들은 모든 마음건강 요소에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반면 제한적 지원망형에 속한 사람들은 긍정정서가 낮고 부정정서가 높았으며 심리적 번영 수준이 가장 낮았다. 이 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지원망의 확충이 마음건강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으며, 공적인 지원망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지원망의 대안들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reveal how Koreans’ social support networks are structured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ypes of social support network and individuals’ mind health. Previous research evidenced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network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Most of empirical studies, however, focuses on specific groups, such as elderly, women, patients, and lower class. Using a survey of Koreans over the age of 19 years old, we identify different types of social support network of Koreans overall and examine whether mind health is related to different types of support network. We operationalize mind health consisting of three elements; positive emotion, absence of negative emotion, and psychological flourishing. Latent class analysis produces four types of social support networks; partner centered, family-friends diversified, friends-relatives centered, and restricte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nd health across network types. The mind health levels are the highest for those who have a partner centered network, followed by those of family-friends diversified network, friends-relatives centered network. Those who have a restricted support network are the lowest in mind health. All three sub-elements of mind healt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support network types. The differences are particularly noticeable in the absence of negative emotion and psychological flourishing. Those who have a restricted support network report lower level of positive emotion, higher level of negative emotion, and lower level of flourishing. The results imply that in order to improve mind health of Koreans, it may be necessary to reinforce alternative support networks including formal support network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토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혜란(Hearan Koo),박상희(Sang-Hee Park). (2016).한국인의 마음건강:. 보건과 사회과학, 43 , 33-62

MLA

구혜란(Hearan Koo),박상희(Sang-Hee Park). "한국인의 마음건강:." 보건과 사회과학, 43.(2016): 3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