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맞벌이 부부의 가용시간 내 가사노동의 분담격차와 여성의 우울

이용수 751

영문명
Effects of Gender Gap of Sharing Domestic Labor within Working Couples’ Available Time on Women’s Depression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김은경(Kim, Eunkyung) 김경희(Kim, Kyounghee)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30집 4호, 91~11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부부의 가용시간 내에서 가사 및 돌봄노동의 분담격차가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 5차년 도와 6차년도를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는 여성의 우울지수이며, 독립변수는 유급노동시간을 제외한 개인의 가용생활시간에서 가사 및 돌봄노동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그 외에 개인자원, 주관적 의식, 배우자의 개인자원을 통제하였다. 첫 단계의 분석으로 성별 노동분담 격차와 우울 간의 관계에 대한 다변량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고, 다음으로 노동분담 방식을 여성중심형, 부부동등형, 남성중심형으로 유형화하여, 노동분담격차와 우울과의 관계에 대한 하위집단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분담 격차가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U자의 비선형 관계를 보인다. 일정 수준의 노동분담 격차는 여성의 우울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지만, 격차가 그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우울 정도는 다시 높아져 비선형적 특징을 보인다. 둘째, 여성중심형에서는 노동분담 격차가 여성의 우울에 여전히 비선형적 영향을 미치지만, 부부동등 및 남성중심형에서는 분담격차가 여성의 우울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진보적일수록 여성중심형에서는 우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인식과 현실의 괴리가 여성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가사 및 돌봄책임은 맞벌이 부부에서도 여전히 여성에게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여성의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gender gap on the division of domestic and care labor on women s depression in dual income couples. The research used the 5th and 6th data of the Women and Family Panel collected by the KWDI. The dependent variable is women’s depression,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gender gap on the division of domestic and care labor, which is not the amount of time, but the gender gap of the time proportion to consume to domestic and care work within one’s available time except for paid work hours. In addition, personal resources,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personal resources of one’s spouse were controlled as factors influencing on women’s depression. The research conducted first multiple re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gap on the division of domestic and care work and women’s depression. Secondly, the research conducted a sub-group analysis, classified the division of domestic and care work as three types such as women-centered, equal and male-center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labor sharing gap on women s depression has been found to be nonlinear, the U-curve relationship. The labor sharing gap at a certain level has a positive effect to reduce women’s depression, but when the size of this gap increases, women’s depression rises sharply. Second, in the women-centered type, the labor sharing gap still has a non-linear effect on women s depression, but in the equal and male-centered type, the labor sharing gap has an effect to reduce women s depression. Third, the more attitude towards gender role is non-traditional, the more it is likely to increase women’s depression in women-centered type. It implies that the conflict between perception and reality would result in a negative effect on women s mental health. In conclusion, women still shoulder full burden of domestic and care responsibilities in working couples, and thus affect negatively women’s mental health.

목차

Ⅰ. 서 론
II. 가사노동과 정신건강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경(Kim, Eunkyung),김경희(Kim, Kyounghee). (2018).맞벌이 부부의 가용시간 내 가사노동의 분담격차와 여성의 우울. 가족과 문화, 30 (4), 91-113

MLA

김은경(Kim, Eunkyung),김경희(Kim, Kyounghee). "맞벌이 부부의 가용시간 내 가사노동의 분담격차와 여성의 우울." 가족과 문화, 30.4(2018): 91-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