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테러리즘공포 영향 요인

이용수 116

영문명
Factors Affecting Fear of Terrorism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강부순(Kang, Boo soon) 이창한(Lee, Chang Han)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27권 4호, 443~46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테러리즘을 범죄의 일종으로 파악하는 관점에 기초하여, 취약성 모델, 사회통제 모델 등 범죄두려움을 설명하는 모델들을 기반으로 테러리즘공포의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종속변수는 테러리즘공포이며, 독립변수는 취약성 모델의 두 가지 하위변인인 물리적 취약성과 사회적 취약성, 그리고 사회통제 모델의 두 가지 하위변인인 공식적 사회통제와 비공식적 사회통제이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제6차 세계가 치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총 58개국 90,765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및 OLS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신체적 취약성 중 연령이, 사회적 취약성 중 교육수준이, 공식적 사회통제 중 체감안전도가, 비공식적 사회통제 중 사회참여가 테러리즘공포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향을 고려해 볼 때, 이는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체감안전도가 낮을수록, 사회 참여가 높을수록 테러리즘공포가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또한 요인들의 베타값을 비교해본 결과 취약성 모델보다는 사회통제 모델의 요인들이 테러리즘공포에 전반적으로 보다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테러리즘 또한 하나의 범죄현상이라는 관점에서 범죄두려움 설명 모델이 테러리즘공포를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를 검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실제로 연구결과 몇몇 요인에서 영향관계가 확인되어 범죄두려움 설명이론의 적용이 어느 정도는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신체적 취약성과 비공식적 사회통제 요인에서 본래의 이론이 기대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의 영향이 나타났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테러리즘공포가 범죄로서의 특성을 갖고는 있으나, 기존의 범죄학 이론만으로는 온전한 설명이 어렵다는 사실 또한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empirically the factors affecting fear of terrorism through the fear of crime models such as vulnerability model and social control model, based on the perspective of identifying terrorism as a kind of crime. Therefore,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fear of terrorism.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are the two sub-variables (physical vulnerability and social vulnerability) of the vulnerability model and two sub-variables(official social control and informal social control.) social control model. This study model was analyzed using data of the 6th world value survey, 90,765 samples from 58 countries, and using method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OL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ge among the physical vulnerabilities, education level among social vulnerabilities, perceived safety among formal social control, and social participation among informal social control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fear of terrorism. Considering the direct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lower the age,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the lower the perceived safety level, and the higher the social participation, the more fear of terrorism.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beta values o f the factors, it is found that the factors of social control model have more influence on the fear of terrorism as a whole than the vulnerability model.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proved whether the fear of crime theory could explain fear of terrorism, in terms of terrorism as one crime phenomenon. Finally, some factors of the fear of crime model can effectively explain the fear of terrorism. However, the effects of physical vulnerability and informal social control factors are different from those expected by the original theory. This implies that the fear of terrorism has characteristics as a crime, but the existing theory of criminology alone makes it difficult to fully explain i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부순(Kang, Boo soon),이창한(Lee, Chang Han). (2018).테러리즘공포 영향 요인.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7 (4), 443-468

MLA

강부순(Kang, Boo soon),이창한(Lee, Chang Han). "테러리즘공포 영향 요인."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7.4(2018): 443-4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