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졸 청년층의 직무불일치 잠재유형 변화 분석

이용수 551

영문명
An Analysis on the Change of College Graduates’ Job Mismatch:
발행기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저자명
길혜지(Hye ji Kil) 김영식(Young sik Kim)
간행물 정보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7권 제3호, 155~17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5년과 2015년에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청년층의 직무불일치 실태를 보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한편, 이러한 직무불일치 현상이 지난 10년 간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였는지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졸업 후 첫 직장에서 정규직으로 근무한 임금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직무 수준 일치’, ‘기술-직무 수준 일치’, ‘전공-직무 일치’의 세 변수를 동시에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한 후 대졸 청년층의 직무불일치에 관한 잠재유형을 구분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5년과 2015년 모두 직무에 적정한 교육과 기술 수준을 갖춘 것으로 응답한 비율은 55% 정도였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과소교육(기술) 관련 응답 비율이 증가하였다. 둘째, 잠재계층분석을 통하여 직무불일치에 관한 잠재유형을 분류한 결과, 2005년은 ‘적정교육(기술)-전공일치 집단’(53.7%), ‘과잉교육(기술)-전공불일치 집단’(41.4%), ‘과소교육(기술)-전공일치 집단’(4.9%)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에 반해 2015년에는 ‘적정교육(기술)-전공일치 집단’(55.6%), ‘과잉교육(기술)-전공불일치 집단’(28.8%), ‘과소교육(기술)-전공일치 집단’(10.4%), ‘극심한 과잉교육(기술)-전공불일치 집단’(5.2%)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잠재유형은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전공 계열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고등교육기관 및 노동시장의 수요자, 정부 당국 측면에서 대졸 청년층의 직무불일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tatus of college graduates’ job mismatch and analyze the changing trend of job mismatch for the 10 years since 2005. For these purposes, we utilized the Latent Class Analysis(LCA) exploiting GOM2005 and GOMS2015 data which provided comprehensive information of individual college gradu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Our results first showed that employees who took the adequate education & skill account for 55% of all employees, and the proportion of under-educated(or skilled) workers are getting larger as time went by. Second, the result of LCA showed that there were 3 groups regarding job mismatch among college graduates of year 2005(group1: Adequately educated(skilled)-major congruent(53.7%), group2: overeducated(skilled)-major incongruent(41.4%), group3: undereducated(skilled)-major congruent(4.9%)). In 2015, on the other hand, the LCA revealed that college graduates can be grouped into 4 groups(group1: Adequately educated(skilled)-major congruent(55.6%), group2: overeducated(skilled)-major incongruent(28.8%), group3: undereducated(skilled)-major congruent(10.4%), group4: extremely overeducated(skilled)-major incongruent(5.2%)). And noteworthy differences regarding latent classes of college graduates were statistically identified between major 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recommended some policy suggestions for relieving the college graduates’ job mismatch in an aspec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consumers of labor market, and governments.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길혜지(Hye ji Kil),김영식(Young sik Kim). (2018).대졸 청년층의 직무불일치 잠재유형 변화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7 (3), 155-178

MLA

길혜지(Hye ji Kil),김영식(Young sik Kim). "대졸 청년층의 직무불일치 잠재유형 변화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7.3(2018): 155-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