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前期 寺刹版 刊行佛書 考察

이용수 213

영문명
Study of Buddhist Texts Published by Buddhist Temple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김자현(Kim, Ja Hyun)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49輯, 163~19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조선 전기 사찰판 불서의 간행배경과 이 시기 불서가 다량으로 간행된 사찰들 중 특징이 도출되는 사찰들을 중심으로 불서의 간행양상을 살펴보았다. 15세기 조선에서는 왕실의 불서간행이 두드러졌으며 일부의 사찰을 제외하고는 불서간행이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6세기에 이르면 불서간행의 주도권은 사찰로 넘어오게 된다. 사찰은 더 이상 왕실의 불서간행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儒臣들의 지속적인 반대로 결국 불교가 국가의 정책에서 완전히 배제되어 방임되었던 분위기 속에서 자구책으로서 민간을 대상으로 하는 齋儀나 追善을 위한 경전과 의식집, 그리고 승려들의 교육을 위한 불서들을 간행하였다. 이와 같은 사찰의 불서간행은 1520년대를 기점으로 서서히 증가하였고, 불교가 일시적으로 중흥했던 명종대를 지나 선조 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조선전기 사찰에서 간행된 불서들을 정리해 본 결과 대부분의 사찰들은 대승경전과 의식집, 승려들의 학습을 위한 불서들이 복합적 으로 간행되는 경향을 띄었다. 하지만 이와는 대조적으로 敎宗과 관련된 전적의 간행이 드물었던 이 시기에 華嚴과 관련된 불서들이 대량으로 간행하였던 歸眞寺와 星宿寺, 禪과 관련된 불서들이 집중적 으로 간행되었던 普賢寺와 新興寺, 의식집의 간행이 두드러졌던 廣 興寺 등과 같이 특정한 분야의 불서간행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사찰들이 있어 해당 사찰의 불서간행 경향과 그 연유를 함께 살펴보았 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d the backgrounds of publication of Buddhist texts by Buddhist temple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and analyzed cases of Buddhist temples that produced Buddhist texts of specific fields in large quantit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end of publishing Buddhist texts at those temples. In fifteenth-century Joseon, Buddhist texts were published mainly by the royal court and rarely by Buddhist temples except for certain cases. In the sixteenth century, however, Buddhist temples emerged as main publishers of Buddhist texts. In this period, the royal court discontinued the tradition of publishing Buddhist texts and Buddhism was eventually abandoned in state governance and policies due to constant opposition from Confucian scholars. Against this backdrop, Buddhist temples published Buddhist scriptures that were necessary for performing rites for ordinary people or deceased souls, manuals of rituals, and texts for education of Buddhist monks. Publication of Buddhist texts at Buddhist temple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1520s and continued through the short renaissance of Joseon Buddhism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明 宗, r. 1545–1567) and the subsequent period under the rule of King Seonjo (宣祖, r. 1567–1608). The examination of the Buddhist texts published by Buddhist templ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revealed that most temples published several categories of texts as mentioned above—e.g., scriptures of Mahayana Buddhism, ritual manuals,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monks. Interestingly, certain temples including Guijinsa Temple and Seongsusa Temple in Hwanghae-do produced many texts related to Avatamsaka (華嚴; Kr. Hwaeom, Ch. Huayan) school of Buddhism while publication of texts other than those on Seon Buddhism was rare at the time. Bohyeonsa Temple in Pyeongan-do and Sinheungsa Temple in Gyeongsang-do intensively produced texts of Seon (禪) Buddhism.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s of publishing Buddhist texts at those temples and the reasons behind such trend.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전기 사찰의 佛書 간행배경
Ⅲ. 사찰별 간행불서의 양상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자현(Kim, Ja Hyun). (2018).朝鮮前期 寺刹版 刊行佛書 考察. 불교연구, 49 , 163-195

MLA

김자현(Kim, Ja Hyun). "朝鮮前期 寺刹版 刊行佛書 考察." 불교연구, 49.(2018): 163-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