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상루기(百祥樓記)>의 곡문(曲文)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

이용수 82

영문명
Formal Characteristics in Gokmun of Beaksangrugi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雷挺(LEI TI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42권, 151~17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정상현(鄭尙玄)이 창작한 한문 희곡 <백상루기(百祥樓記)>의 곡문(曲文)(노래가사)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을 고찰하고, 동시에 이런 형식적 특징이 형성된 이유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지금까지 <백상루기>에 관한 연구는 주로 작자 규명, 체재 분석, 언어표현상의 특징, 김성탄(金聖嘆) 비평본(批評本) <서상기(西廂記)>와의 비교, 평비(評批)의 특징, 인물형상, 성(性)담론 등의 방면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작품의 곡문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백상루기> 곡문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을 분석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백상루기>에 나타난 곡패(曲牌)를 정리하여, 각각 북곡(北曲)이나 남곡(南曲)에 속하는지를 구분한다. 그리하여 중국 북곡에 속하는 곡패들이 많았음을 확인하였다. 나머지의 다른 곡패들 중에서 일부분의 이름은 중국 희곡 곡패의 이름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희곡 각 折의 마무리를 뜻하는 곡패인 【잠살미(賺煞尾)】, 【살미(煞尾)】, 【미(尾)】는 원잡극(元雜劇) 투곡(套曲)의 마무리 부분이고, 套曲에서의 제일 중요한 표시이기 때문에 더욱 <백상루기>의 음악은 중국 북곡에 따라 창작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백상루기>에 나타난 곡패와 김성탄 비평본 <서상기>에 나타난 곡패를 비교하였다. <백상루기>와 <서상기>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곡문은 중국 희곡 곡패의 정격(正格)에 안 맞고, 물론 구수(句數)나 매구(每句)의 글자 수에도 큰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백상루기> 【금초엽(金蕉葉)】의 곡문은 [선려(仙呂)]【점강순(點絳脣)】의 정격과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 외에도 <서상기>의 곡문과 <서상기>에서 사용되지 않고 북곡 곡패에서 찾을 수 있는 곡패인 【쌍원앙(雙鴛鴦)】에 관한 곡패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백상루기>에서 친자(襯字)도 거의 안 보인다. 그러므로 <백상루기> 곡패에 관한 곡문들을 통해 작가가 중국 희곡에서 사용하는 곡패에 대한 이해, 사용함 등에서 중국 희곡의 곡문을 창작하는 방법과 많이 다르다고 알 수 있다. 이러한 북곡 형식에 안 맞는 <백상루기> 곡문의 특성은 김성탄 비평본 <서상기>뿐만 아니라 명· 청 전기의 문체를 수용하면서 새로운 문체를 모색하려고 시도한 흔적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formal characteristics in Gokmun(lyrics) of Beaksangrugi, an opera written in Chinese by Jung Sanghyun, and to verify the reason why such writing formal characteristics were formed. The studies on Beaksangrugi so far focused on writer investigation, format analysis,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expressions, comparison with Jin, Shengtan s critique Seosanggi, characteristics of the critique, character images, sexual discourse and etc. However, there hasn t been any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in gokmun of the work.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in gokmun of Beaksangrugi,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okpaes of Beaksangrugi were classified, to see whether they belong to Bukgok or Namgok.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gokpaes belonged to Bukgok of China, and some names of the remaining gokpaes were similar to those of Chinese opera gokpae. Also, the gokpaes 【Zhuanshawei(賺煞尾)】, 【Shawei(煞尾)】 and 【Wei(尾)】 which indicate the end of each act of the opera were the ending part of Yuan opera music and are also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whole set of music, so the music of Baeksangrugi was highly likely to be made according to Bokgok of China. Second, the gokpeas appeared in Beaksangrugi and Jin, Shengtan s critique Seosanggi were compared. Gokmun which commonly appeared in both Beaksangrugi and Seosanggi didn t correspond to the tandard format of Chinese opera gokpae, and surely the number of sentences and the number of letters in each sentence had a lot of differences. Also, the gokmun of Beaksangrugi 【Jinjiaoye(金蕉葉)】 showed almost the same pattern of [Xianlv(仙呂)]【Dianjiangchun(點絳脣)】. Furthermore, gokpae related to 【Shuangyuanyang(雙鴛鴦)】, which can be found in Bukgok gokpae but didn t used in Seosanggi Gokmun and Seosanggi, was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was also found that gokmun of Beaksangrugi didn t correspond to the standard format of Chinese opera gokpae, and surely the number of sentences and the number of letters in each sentence had a lot of differences,and also Chenzi(襯字) was almost not found in Beaksangrugi.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from the Gokmun of Beakssangruji gokpae that the Beaksangrugi author s understanding and the using of Chinese opera gokpae had many differences from the writing way of Chinese opera gokmun. Such formal characteristics in gokmun of Beaksangrugi, which doesn t correspond to the standard format, is evidences of attempts to seek a new style while adopting literary styles of Ming and early Qing Dynasty, in addition to Jin, Shengtan s critique Seosanggi.

목차

1. 서론
2. 북곡(北曲)의 활용
3. 북곡 형식으로부터의 탈피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雷挺(LEI TING). (2018).<백상루기(百祥樓記)>의 곡문(曲文)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42 , 151-174

MLA

雷挺(LEI TING). "<백상루기(百祥樓記)>의 곡문(曲文)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42.(2018): 151-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