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순신의 사생관과 순국의 의미

이용수 289

영문명
Admiral Yi Sun-sin s philosophy of life and death, and sacrifice of his life for his country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임원빈(Lim, Won-Bin)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29호, 77~124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교의 세계관의 영향을 받은 이순신은 사람은 태어나면 언젠가는 반드시 죽을 수밖에 없는[有生必有死] 운명을 지닌 존재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사람의 목숨은 하늘이 좌우한다는 운명관의 소유자였다. 그는 유교의 가르침대로 죽음을 공포의 대상으로 받아들이거나 죽음 이후의 세계에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그는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정의로운 삶 그리고 임금을 위해 충성을 다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는 현실 중심적 삶이야말로 사람에게 가장 가치있는 삶이라고 여겼다. 노량해전에서 이순신의 순국 이후, 그의 죽음에 관해 여러 가지 이야기들이 생겨났다. 그 중 하나가 이순신의 자살설이다. 그런데 이순신의 자살설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할 수 있을 것 같다. 첫째는 이순신의 평소의 사생관과 행적에 기초한 비판이다. 이순신의 자살 설은 대부분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관련이 있다. 역모에 희생될 것을 두려워 한 이순신 장군이 고의로 전사를 가장하여 자살함으로써 무장 으로서의 영예를 지키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주장은 사람의 목숨은 하늘에 달렸다는 운명관을 지니고, 정의로운 삶을 살았던 이순 신의 평소 행적에 비추어 보면 전혀 앞 뒤가 맞지 않는다. 또한 이순신의 평소 사생관에 비추어 보았을 때 그는 결코 죽음이 두려워 전사를 가장한 자살을 택할 사람이 아니다. 이순신 자살설이 가지고 있는 치명적 결함이다. 둘째는 <이순신은 전사하였다>고 기록한 자료와 <이순신은 자살 하였다>라고 기록한 자료의 신뢰도 비교에 기초한 비판이다. <이순신이 전사하였다>고 언급한 대표적인 자료는 이순신과 함께 임진왜란, 정유재란 시기를 보냈던 안방준의 「노량기사(露梁記事)」(1645)이다. 이 글은 노량해전과 이순신의 전사 상황을 기록하기 위해 쓴 것으로 이순신 장군이 조총을 맞는 과정, 갑옷을 입고 있었다는 사실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순신이 자살하였다>고 주장한 대표적인 자료는 이순신 사후 35년 뒤에 태어난 이민서의 「김장군전(金將軍傳)」이다. 이민서는 이 글에서 “이순신은 전투가 벌어지자 갑주(甲冑)를 벗고 스스로 탄환에 맞아 죽었다(李舜臣, 方戰免冑, 自中丸以死)”라고 하여 이순신 장군이 일부러 투구와 갑옷을 벗고 탄환에 맞아 죽었다고 서술 하였다. 이른바 이순신 자살설의 원조이다. 그러나 이민서는 이를 뒷받침할 어떤 근거도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김장군전(金將軍傳)」은 개인의 전기물이므로 역사적 사실 문제를 다루는 사료로 채택하기에는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 이순신의 전사 상황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는 안방준의 「노량기사」가 신뢰가 가는 이유이다. 그렇다면 이순신의 순국은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좋을까? 첫째는 무장 이순신의 무한 책임의식의 발로요, 둘째는 개인적인 희망사항이 었으며, 셋째는 하늘의 뜻이었다는 것이다. 이순신의 순국은 일본군의 침략을 막아내지 못한 죄책감을 지니고 살았던 무장 이순신의 ① 무한 책임의식과 마지막 전투에서 순국할 수 있기를 바랐던 ② 개인적 희망 사항 그리고 더 이상 그를 보호해 주지 않은 ③ 하늘의 뜻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 좋을 것이다. 마지막 노량해전에서의 이순신의 순국은 무장 이순신 스스로에게는 가장 영광스런 죽음이요, 우리 후손 들에게는 가장 교훈적인 죽음이었다. 더 이상 이순신의 죽음을 자살이 라고 폄하하거나 왜곡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

영문 초록

Affected by confucius values, Admiral Yi Sun-sin considered humans as beings that would eventually die one day. And he believed that whether one lives or dies is determined only by the heavenly forces. Due to this confucius belief, he never feared death nor was he ever curious about the afterlife. His definition of a good life was a just life that does not negotiate with injustice and a reality-centered life where one shows the utmost loyalty to the king, and is dutiful to his or her s parents. After his death in the Battle of Noryang, there were many theories about his death. One theory is Admiral Yi Sun-sin s suicide. However, the theory that Admiral Yi Sun-sin committed suicide can be criticized in two ways. First is Admiral Yi Sun-sin s philosophy of life and death. That Admiral Yi Sun-sin committed suicide has relations with the political status during that time. The theory argues that fearing treason resulting from his death, he purposely killed himself to maintain his honorable status as a commander. However, this claim is contradictory by the idea that Admiral Yi Sun-sin considered the matter of life and death as heavenly matter. Judging by his philosophy, it would be absurd for him to choose suicide due to a fear of dying. This is the main flaw of this theory. Another way to criticize the suicide theory is by comparing the basis of the sources that argue that Admiral Yi Sun-sin is dead and Admiral committed suicide .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that we have considering Admiral Yi Sun-sin s death is Noryanggisa(露梁記事) written in 1645 by An Bang-Joon, who lived during the Imjin Waeran and Jungyoo Jaeran period alongside Admiral Yi Sun-sin. It was written to record in detail about Admiral Yi Sun-sin s death and he states that he died by a rifle while wearing a suit of armor. Kimjanggunjeon(金將軍 傳) written by Lee Min-Seo, 35 years after Admiral Yi Sun-sin s death, is one of the popular sources that argue that Admiral Yi Sun-sin committed suicide. Lee argues that Admiral killed himself by writing As the battle began, Admiral Yi Sun-sin took off his helmet and took a bullet to himseif on purpose . This is the root of the suicide theory. However, Lee does not give us any evidence to prove his argument. Also, because the Kimjanggunjeon(金將軍傳) is a biographical work, it is difficult to cite it when discussing historical facts. This is the why An Bang-Joon s Noryanggisa(露梁記事) , a work that has records of all the details about Admiral Yi Sun-sin s death, is more trustworthy than the other. So how should one understand Admiral Yi Sun-sin s patriotic death? First is Admiral Yi Sun-sin s recognition of responsibility, second is his personal wish, and the third is the heavenly forces that determine life and death. His patriotic death can be seen as a mixture of three things in play: 1) his recognition of responsibility because he had to live with the guilt that he could not defend against the Japanese: 2) his personal wish to die during his last battle: 3) the heavenly forces that no longer protect him anymore. Admiral Yi Sun-sin s patriotic passing during the last Battle of Noryang is the most honorable death that he could have had and one that teaches us a lesson. No longer should his death be argued as a suicide, disparaged, or distorted.

목차

Ⅰ. 서론
Ⅱ. 이순신의 사생관(死生觀)
1. 죽음에 대한 생각과 태도
(1) 유학적 사생관의 정립
(2)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의 운명관 보유
2. 삶에 대한 생각과 태도
(1) 이순신의 좌우명과 관직 생활 중의 행적
(2) 이순신의 삶의 두 축 : 충과 효
Ⅲ. 이순신 순국(殉國)의 의미
1. 이순신의 전사를 기록한 자료 검토
2. 이순신 자살설의 출현 경과
3. 이순신 자살설의 비판
4. 이순신 순국의 의미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원빈(Lim, Won-Bin). (2018).이순신의 사생관과 순국의 의미. 이순신연구논총, (29), 77-124

MLA

임원빈(Lim, Won-Bin). "이순신의 사생관과 순국의 의미." 이순신연구논총, .29(2018): 77-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