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환단고기』의 帝와 道의 관계 - 三神一體의 上帝와 三神一體의 道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이용수 102

영문명
The Relation between Je (帝) and Do (道) as enunciated in the Hwandan Gogi : A Review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Triune Sangje and the Triune Dao
발행기관
세계환단학회
저자명
원정근(Won, Jeong Keun)
간행물 정보
『세계환단학회지』5권 1호, 111~13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환단고기』는 신과 세계와 인간의 관계를 해명하는 매우 독특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모든 것을 하나와 셋의 관계로 설명하는 ‘執一含三’과 ‘會三歸一’의 삼일 론의 사유방식이다. 『환단고기』는 삼일론의 사유방식에 입각하여 ‘제’와 ‘도’의 관계를 해명한다. 삼신일체의 상제와 삼신일체의 도의 관계가 바로 그것이다. 『환단고기』에서 ‘제’의 특성을 가장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삼신일체의 상제’이 다. 삼신일체의 상제는 우주만물을 통치하는 주재신과 우주만물을 생성하고 변화시 키는 자연신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삼신과 한 몸이 되어 우주만 물을 주재하는 신이 바로 삼신일체의 상제다. 『환단고기』에서 ‘삼신일체의 도’는 삼일론의 사유방식에 근거하고 있다. 광대성과 원만성과 통일성을 뜻하는 ‘大圓一’이 다. ‘대원일’은 또한 ‘三大’와 ‘三圓’과 ‘三一’로 나누어진다. 『환단고기』는 ‘삼신일체의 상제’와 ‘삼신일체의 도’의 관계를 통해 신과 세계와 인간을 삼위일체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주체로서의 인간의 위치와 역할을 강조한다. 인간이 제자리에서 제 모습을 온전히 발현할 때, 인간을 포함한 이 세계의 모든 것이 독자적 자유와 통일적 조화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Hwandan Gogi proposes a very unique methodology to elucidate the relation between God, world and humanity, which is based on a specific way of thought in which one sees each and all phenomena from the viewpoint of the relation between three and one. This is called the principle of triadic unity, and its essence is summed up in the axioms―Jibil Hamsam (執一含三: “One comprises Three”) and Hoesam Gui’il (會 三歸一: “Three constitute One”). From this unique perspective of the triadic unity, the Hwandan Gogi expounds the relation between Je (帝: “Emperor” or “God”) and Do (道: “Way” or “Dao”), more specifically, the relation between the triune Sangje (上帝: “Heavenly God”) and the triune Dao. In the Hwandan Gogi, the distinctive quality of Je is most significantly epitomized in the concept of the triune Sangje characterized by its two inseparable attributes; one is “God the Nature,” which generates and transforms all things in the universe, and the other is “God the Ruler,” which governs and presides over them. This divine two-fold attributes derive from the truth―the triune Sangje, or triune Heavenly God, is one with Samsin (三神: “Triune Spirit”) and presides over all things. The triune Dao as enunciated in the Hwandan Gogi is also based on the principle of triadic unity, and this characteristic of the Dao is succinctly expressed in the phrase Dae Won Il (大圓一), meaning “magnificence, completeness, and oneness.” And this concept of Dae Won Il is further divided into three parts―triadic magnificence, triadic completeness, and triadic oneness. By elucida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riune Sangje and the triune Dao, the Hwandan Gogi places particular emphasis on a human being’s status and role as the universal Self that integrates God, world, and humanity in a triune way. Thus, when humans redeem their original status in its true form, all things in the world including humans themselves can attain independent freedom as well as unifying harmony.

목차

1. 왜 제와 도와 관계인가
2. 삼신일체의 상제
3. 삼신일체의 도
4. 태일 인간의 위치와 역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원정근(Won, Jeong Keun). (2018).『환단고기』의 帝와 道의 관계 - 三神一體의 上帝와 三神一體의 道의 관계를 중심으로 -. 세계환단학회지, 5 (1), 111-131

MLA

원정근(Won, Jeong Keun). "『환단고기』의 帝와 道의 관계 - 三神一體의 上帝와 三神一體의 道의 관계를 중심으로 -." 세계환단학회지, 5.1(2018): 111-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