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의 문(門) ‘정낭’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0

영문명
A Study of Symbolic Meanings of Jeju-do’s Front-gate Jeongnang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저자명
부정민(Jung min Boo)
간행물 정보
『상징과 모래놀이치료』제5권 제2호, 11~3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re is a unique type of gate that is found on Jeju Island callled Jeongnang. A traditional stone or wooden structure, it has a diverse range of symbolic meanings for the islanders as evidenced in the sand-pictures they create. For these people, the rich symbolism of the Jeongnang gate encompasses boundary, protection, consideration, disconnection, attachment, feeling of lack, and harmony. From long time ago, Jeju people made holes ranging from one to five through a wooden pillar (Jeongjumok) or a stone pillar (Jeongjuseok) and transversely placed wooden logs (Jeongnang) into the pillar. This is the unique gate of Jeju called Jeongnang. By placing the bars up or down, the owner indicated whether there was a person or not and also that the owner would come back soon, somewhat late, or very lat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Jeongnang and explored its symbolic meanings. To this end, as a metho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Jeongnang, this study selected a literature review and at the same time interpreted the symbolic meanings of Jeongnang used in sandplay therapies of Jeju people according to Dora Kalff’s theory and technique of sandplay therapy based on Jung’s analytical psychological theory. It was found that Jeongnang had symbolic meanings of boundary, protection, consideration, disconnection, lingering attachment, feeling of lack, and harmon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연구방법
Ⅲ. 문헌고찰을 통한 정낭의 특성
Ⅳ. 모래놀이치료에서 정낭의 상징적 의미
Ⅴ. 나오는 말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부정민(Jung min Boo). (2014).제주의 문(門) ‘정낭’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연구.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5 (2), 11-34

MLA

부정민(Jung min Boo). "제주의 문(門) ‘정낭’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연구."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5.2(2014): 1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