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결어미 ‘-다가’의 한국어 교육 내용 연구

이용수 915

영문명
Ending ‘~daga’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이회환(Lee Hoe hwan)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12권 제1호, 261~28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연결어미 ‘-다가’가 한국어 학습자에게 어떻게 교육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다가’는 [전환], [중단], [인과], [병렬], [조건] 등의 의미 관계로 선·후행절을 연결하지만 그 기본 의미는 [전환]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한국어 교육 문법에서도 [전환]의 ‘-다가’만을 문법 항목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언어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인과]의 ‘-다가’ 또한 문법 항목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다가’가 [병렬], [조건]의 의미를 지닐 때에는 ‘-다가 –다가 (하다)’나 ‘-다가는’ 등과 같이 ‘-다가’가 결합된 복합형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다가’ 단일형의 의미 기능으로 이들을 언급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다가’ 단일형은 [전환]과 함께 [인과]의 의미 기능도 가진다. 다만 [인과]의 ‘-다가’는 [전환]의 ‘-다가’에서 그 의미가 확대되었으므로 이들은 공통적인 문법 특성도 지니지만 차이점도 갖는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한국어 교육 내용으로 구분해서 가르쳐야 할 [전환]과 [인과]의 ‘-다가’에 대한 공통 특성과 개별 특성을 살펴보고, 이 문법적 특성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가’의 학습 지도안의 예를 제시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look into how the connective ending-daga (while ~ing) should be taugh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mmar, and to find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daga.’ Actually, the etymology, and semantic/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ive ending ‘~daga’ have been researched much at a level of Korean linguistics. ‘~Daga’ has a semantic function like [conversion], [interruption], [cause and effect], [parallelism], and [condition], etc. but its representative meaning has been perceived as [conversion] signifying the change of an action, or a state in an antecedent clause into an action, or a state of its following clause. Hereupon, most of the Korean linguistics textbooks presents only ‘~daga’ of conversion as a grammar item. However, it’s also necessary to present ‘~daga’ of [cause and effect] as a grammar item. Nevertheless, when ‘~daga’ has a sematic function of [parallelism], and [condition], it appears as a combined form of ‘~daga’ like ‘~daga’, ‘~daga’ and ‘daganeun’, etc., and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refer to them as a semantic function of ‘~daga’. However, in the case of a single form of ‘~daga’, it has also the semantic function of [cause and effect] besides [conversion], and that’s why it’s imperative that ‘~daga’ of [cause and effect] should be taught by separating it from ‘~daga’ of [conversion]. In addition, even ‘~daga’ having a meaning of [cause and effect] is somewhat high in its frequent count in everyday language, and exposes grammatical characteristics differing from ‘~daga’ of [conversion] from many syntactic aspects. Accordingly, this writing looked into grammatical characteristics which should be taugh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mantic function of [conversion] and [cause and effect], on the basis of which, this writing presented a teaching model for instructing ‘~daga’ item of [conversion], and ‘~daga’ item of [cause and effect].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다가’의 교육 현황
3. ‘-다가’의 문법적 특성
4. ‘-다가’의 교육의 실제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회환(Lee Hoe hwan). (2018).연결어미 ‘-다가’의 한국어 교육 내용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2 (1), 261-284

MLA

이회환(Lee Hoe hwan). "연결어미 ‘-다가’의 한국어 교육 내용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2.1(2018): 261-2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