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현황 연구

이용수 230

영문명
Die Einstellung von Sonderschullehrern über die Implementation von‘Basic Curriculum’für Schüler mit schwerst-mehrfacher Behinderung in Korea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이숙정(Sukjeong Rhie)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19권 제3호, 187~21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특수학교 중도x중복장애 학생의 교과 교육과정에 담당교사의 인식과 운영현황을 고찰하기 위해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준하여 반구조화된 설문을 사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 중도·중복 장애 학생이 주로 입급되어 있는 특수학교 2군데를 선정하고, 학교별로 교사 3명씩을 선정하여 학교별로 집단 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목표 및 핵심역량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막연하나마 학생들이 기능향상을 통해 전인적 성장발달을 이룰 수 있다고 보며, 핵심역량으로는 삶을 영위하기 위한 매우 기본적인(basal) 능력(최소 의사소통, 자기결정, 행위의지 및 동기, 사회적 관계 확대)을 꼽았다. 둘째, 중도x중복장애 학생 교육을 위해 각 학교급별 특성 및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학교수준 교육과정’ 정립이 필요함을 주장하였고, 셋째, 교과교육 편제 및 운영과 관련하여 우선, 담당교사가 인식하는 ‘교과’ 의 의미와 그 범위가 상이하였으며, 교과는 교과(군)별 시수를 감축하여 다른 활동으로 운영하는 경우와 교과 시수 범위에서 학생에게 필요한 관련 생활기능 내용을 가르치는 경우로 양분되어 나타났다. 넷째, 교과 교수학습 형태와 관련하여 현장 교사들은 기본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교과간 통합과 더불어 이를 생활주제와 연결하는 ‘생활주제 중심 교과통합’ 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였다. 연구결과와 관련한 통합적 논제로 첫째, 중도x중복장애 학생의 교과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특수교사의 역량이 고취되어야 하고, 둘째, 해당 학생에게 적합한 교과별 성취기준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요청되며, 마지막으로 추후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에서는 교과의 표준중심 교육과 기능적 교육과정이 통합되어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이 교과별로 진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dieser Untersuchung handelt es sich in erster Linie um die Einstellung von Lehrpersonalien von Schülerinnen mit schwerster Behinderung, und zwar vor allem über die Erziehung und Erziehungmöglichkeiten von diesen Personengruppen. Obwohl diese Schülergruppe bisher eher als erziehungunfähig bzw. lernunfähig galten für die tradierten Fachunterrichten, haben diese Menschen jedoch in neuerster Zeit eine andere positive Erziehungsperspektive gewonnen in der sonderpädagogischen curricularen Entwicklung in Korea. Daher richtet sich diese Arbeit auf die Darstellung bzw. Erweiterung der Erziehungsu. Unterrichtsverständnissen von den Lehrpersonal für diese Menschen und aufs Schlussfolgern für die weitere Sonderschulpraxis. Für diesen Zweck wurden 6 Klassenlehrern von 2 Sonderschulen mit semi-structured interviewbogen nachgefragt und zwar in 3 Bereichen: Erziehung allgemein, Implementation der schulischen Curricular und Didaktisch-Methodische Herangehensweisen in Fachunterrichten. Nach der Darstellung der Ergebnissen von Interview wurden deren sonderpädagogischen Relevanzen in 3 Themenbereich folgend diskutiert: Erstens, auf der Seite von Lehrern ist die fachdidaktische Kompetenz immer stärker nachzufragen, auch für individualisierte curriculare Implementation. Zweitens, für individual adäquate Unterrichtspraxis für diese Schüler ist eine fachliche Diskussion bzw. Übereinstimmung von Bildungsstandard für Unterrichtsfach nötig. Drittens, für die curriculare Entwicklung in Zukunf für diese Schüler ist eine integrative Herangehensweise von (Kompetenz) Standardsorientierte- Curriculum und Functional-Curriculum zu forsche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숙정(Sukjeong Rhie). (2014).중도·중복장애 학생 교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현황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19 (3), 187-211

MLA

이숙정(Sukjeong Rhie).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현황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19.3(2014): 187-2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