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판적 주체 형성을 위한 성숙(Mündigkeit) 개념 연구

이용수 402

영문명
Eine Studie zum Begriff von Mundigkeit fur kritische Subjektbildung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홍은영(Eunyoung Hong)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19권 제3호, 87~11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국내의 교육학 연구 내에서 지금까지 ‘성숙’ 개념과 관련하여 연구영역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것을 연구영역으로 삼는다.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교육학의 핵심 개념으로서 성숙 개념의 의미를 아도르노와 하이돈의 교육철학을 통해 탐색하고 성숙의 모순을 신자유주의 시대적 맥락에서 고찰하는데있다. 이를 통해 오늘날 변화된 사회적 조건 하에서 자유롭고 성숙한 주체 형성을 위해 교육(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성숙 개념은 개별 인간이 자기의 이성을 사용하여 기존의 것에 대한 근거를 묻는 비판 의식과 이를 통해 자유를 자기의 본질로서 간주하여 그것을 실현하기로 결심한 것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아도르노와 하이돈은 각자 독자적인 이론을 정립하였지만, 그들의 교육철학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성숙 개념을 옹호하면서 동시에 성숙 개념의 의미를 항상 구체적 현실과의 관계에서 파악해야 함을 강조하는 데 있다. 푸코에 의하면, 오늘날 지배 상황은 개개인을 강제와 억압에 의해 권력에 종속시키기보다 자유를 통해 유지되고 있다. 각 개인은 끊임없이 스스로 측정하고 계발함으로써 신자유주의의 지배에 편입되어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오늘날 신자유주의 질서 하에서 성숙한 주체 형성을 구현하고자 하는 교육(학)은 스스로의 주장과 반대로 기업가적 자아를 양성하고 있지 않는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의 결론으로서 우리 모두는 권력체계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비판적 주체 형성을 위한 교육은 권력구조 내에서 통치성의 효과에 자신과의 거리를 두고 사회가 요구하는 행위와 사유의 방식을 문제화하여 새로운 삶의 방식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Dies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m Begriff‘Mündigkeit’als einem Schlüsselbegriff kritischer Pädagogik, der bisher innerhalb der koreanischen pädagogischen Forschung kaum untersucht wird. Dabei wird der Bildungsphilosophie von Adorno und Heydorn nachgegangen, und werden die Widersprüche von Mündigkeit im neoliberalen gesellschaftlichen Kontext reflektiert. Dadurch versuche ich die Perspektiven für eine Pädagogik, die auf freie und mündige Subjektbildung unter den heutigen gesellschaftlichen Bedingungen zielt, zu entwickeln. Der Mündigkeitsbegriff lässt sich als die Hinterfragung der Bestehenden verstehen und ist nach Koneffke “der Ausdruck dessen, der die Freiheit als sein eigenes Wesen begriffen hat und entschlossen ist, diese Freiheit in die Hand zu nehmen”. Adorno und Heydorn betonen, dass man die Widersprüche von Mündigkeit bezogen auf den konkreten gesellschaftlichen Kontext immer reflektiern sollte. In diesem Zusammenhang setzt sich diese Arbeit mit dem Begriff von Macht Foucaults auseinander. Nach ihm funktioniert Macht heute nicht durch die direkte Unterdrückung von Individuen, eher durch Freiheit. Subjekte werden in die Machtverhältnisse eingegliedert, indem sie freiwillig bereit sind, ständig sich messen und aktiv zu sein. So lässt sich die Pädagogik danach fragen, ob sie sich selbst an der Ausbildung des unternehmerischen Selbst beteiligt. Eine Pädagogik, die Kritik beansprucht, sollte erkennen, dass sie vom Machtsystem nicht frei sein kann und dass sie distanziert von den gesellschaftlichen Anforderungen gewohnte Denkweise in Frage stellt, wobei sie an der Suche nach neuen Veränderungsansätzen festhält.

목차

Ⅰ. 서론
Ⅱ. ‘성숙’ 개념의 교육학적 의미
Ⅲ. 신자유주의 시대적 맥락 하에서 성숙의 모순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은영(Eunyoung Hong). (2014).비판적 주체 형성을 위한 성숙(Mündigkeit) 개념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19 (3), 87-114

MLA

홍은영(Eunyoung Hong). "비판적 주체 형성을 위한 성숙(Mündigkeit) 개념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19.3(2014): 87-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