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명상 수행 언어 고찰과 교육적 함의

이용수 14

영문명
A Study of Language Use during Meditation Practice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발행기관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저자명
윤성원(Yun, Seongwon)
간행물 정보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21권 제4호, 63~8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언어사회화 이론에 근거해 명상 공동체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언어 사용의 특징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융합 교육의 관점에서 실천적인 함의를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위빠사나 Mindfulness, MBSR(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The Power of Now, 홍익학당 사례들에서 명상 지도자와 수행자가 사용하는 언어이다. 이 사례들의 명상 수행에 사용되는 언어를 발췌 또는 전사하고(transcribing)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통해 핵심개념들을 주제별로 분류한 후 그 특징을 대표하는 언어 표현들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호흡과 통찰 명상에서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언어의 특징은 자각의 언어로 알아차림을 유도하는 지각동사와 인지동사를 통한 지시화행(directives), 자신에게 말하는 내적 언어(inner speech), 마음 작용에 이름 붙여 주기(labelling), 및 침묵(silence)이다. 둘째, 호흡과 통찰 명상의 최종 단계는 형체가 없는 체험의 언어(experiential language)로써 맥락적 지표성(indexicality)의 개념을 통해 그 경지가 가리키는 ‘알아차리는 자(I Am)’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명상 수행 언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무엇을 성취하는가 ‘doing’에서 존재를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는 ‘being’으로 교육에 대한 태도의 전환이 요구되었다. 아는 것에서 알아차림으로, 즉 지식 중심의 교육에서 존재 중심 교육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다. 그 결과 있는 그대로 느끼고 알아차리기, 본성에 연결하기, 타인과 조화롭게 살아가기가 교육의 근본 목표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linguistic features of language use during meditation practice as a means of constructing meditation community identity based upon language socialization theory. The subject of this study pertains to language used in Vipassana Mindfulness, MBSR(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The Power of Now, and Hongik Academy. Linguistic expressions and noticeable features in theses cases were excerpted or transcribed to conduct the content analysis of key concep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first, the repetitive patterns of linguistic features of mediation language are directive speech acts with affective and cognitive verbs, inner speech, labelling of mind activities, and silence. Second, the state of no self at the last stage of breathing and mindfulness meditations requires no language named experiential language pointing to awakening, which is examined through indexicality meaning the contents of what linguitic expressions refer to can be understood only in a particular shared context. As a result, the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changes in the attitudes of educators and toward the meanings of life and educational transformation to value the importance of being aware of things as they are, the experience of the nature of being as presence, and the necessity of living in harmony with ot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성원(Yun, Seongwon). (2017).명상 수행 언어 고찰과 교육적 함의.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1 (4), 63-86

MLA

윤성원(Yun, Seongwon). "명상 수행 언어 고찰과 교육적 함의."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1.4(2017): 6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