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이용수 76

영문명
A Study on the Constituents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Engineers In the Field
발행기관
한국공학교육학회
저자명
김대영(Dae-Young, Kim) 김기수(Ki-Soo, Kim) 김판욱(Pan-Wook, Kim) 노태천(Tae-Cheon Rho) 류창열(Chang-Yol Ryu) 최완식(Won-Sik Choi) 최유현(Yu-Hyun, Choi) 구진희(Jin-Hee Ku) 노희진(Hee-Jin, Rho) 이진우(Jin-Woo, Lee) 이창훈(Chang-Hoon, Lee) 정수진(Su-Jin Jung) 강현무()
간행물 정보
『공학교육연구』제9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공학기술자들에게는 전공분야 지식은 물론이고 창의적 사고, 협업능력, 의사 소통능력, 리더쉽 등의 공학기초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공학분야 인재 육성을 책임지고 있는 공과대학도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공학기초능력이 포함된 교육과정 개발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공학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적용되고 있는 국내외 엔지니어증 프로그램 관련 자료를 비롯해서 영국엔 지니어링위원회의 UK-SPEC, 호주엔지니어링협회의 EA 기준/핸드북, 미국의 직업정보망 O*NET의 자료를 활용해서 바람직한 공학기술자에게 필요한 공학기초능력을 규명하기 위하여 공학기초능력을 구성 하는 핵심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추출된 핵심요소들은 인문사회학적 공학소양능력(HSS), 창의공학설계능 력(CED), 엔지니어의 자기계발능력(ECD)과 같이 3개 대영역으로 범주화하고, 각각의 범주와 핵심요소 들에 대한 산업현장 엔지니어의 델파이조사로 공과대학에서 육성해야 할 공학기초능력을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ge based society of 21c, engineers require not only their own speciality but also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such as creative thinking, the ability of working together,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Engineering colleges responsible for educating engineers consider developing curriculum including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which i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times. By utilizing the accreditation programs of engineering education, UK-SPEC of UK Engineering Council, EA(Engineering Australia) standards/handbook of the Institute of Engineers Australia, O*NET of U.S. Occupational Network, this study generates core elements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to prove the capability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required to desired engineers. Core constituents derived from the study were categorized into 3 major areas of the basic engineering literacy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HSS), the ability of Creativity Engineering Design, Career development and each category and constituents were surveyed and checked by engineers in the field to deduce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that should be educated in the engineering colleg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영(Dae-Young, Kim),김기수(Ki-Soo, Kim),김판욱(Pan-Wook, Kim),노태천(Tae-Cheon Rho),류창열(Chang-Yol Ryu),최완식(Won-Sik Choi),최유현(Yu-Hyun, Choi),구진희(Jin-Hee Ku),노희진(Hee-Jin, Rho),이진우(Jin-Woo, Lee),이창훈(Chang-Hoon, Lee),정수진(Su-Jin Jung),강현무(). (2006).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9 (2), 1-18

MLA

김대영(Dae-Young, Kim),김기수(Ki-Soo, Kim),김판욱(Pan-Wook, Kim),노태천(Tae-Cheon Rho),류창열(Chang-Yol Ryu),최완식(Won-Sik Choi),최유현(Yu-Hyun, Choi),구진희(Jin-Hee Ku),노희진(Hee-Jin, Rho),이진우(Jin-Woo, Lee),이창훈(Chang-Hoon, Lee),정수진(Su-Jin Jung),강현무(). "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9.2(2006):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