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분장애 환자의 대뇌 피질 두께 측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15

영문명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Cerebral Cortical Thickness in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방사선학회
저자명
김도훈(Do-Hun Kim) 이효영(Hyo-Young Lee)
간행물 정보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제18권 제2호, 73~81쪽, 전체 9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분 장애(mood disorder) 환자들과 정상 대조군간의 대뇌 피질 두께를 측정 하여 구조적 이상을 비교하였다. 2020년 9월부터 2022년 8월까지 경상남도 양산 P 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기분 장애 진단을 받은 44명과 이상 병변이 없는 정상인 5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후 획득한 3D-T1 MPRAGE 영상을 이용하였고, FreeSurfer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대뇌 피질 두께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두 그룹간 평균의 차이를 측정하고, cohen’s d 검정을 통해 두 그룹간 평균 차이의 크기를 평가하였다. 또한, 측정된 평균 피질 두께와 환자의 양성·음성증상(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기분장애 환자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양측 상전두이랑(both superior frontal), 주둥이 중전두이랑(both rostral middle frontal), 꼬리 중전두이랑(both caudal middle frontal), 하전두이랑 주름 세곳(both pars opercularis, pars orbitals, pars triangularis), 상측두이랑(both superior temporal), 하측두이랑(both inferior temporal), 외측안와전두피질(both lateral orbito frontal), 내측안와전두피질(both medial orbito frontal), 방추형이랑(both fusiform), 후대상피질(both posterior cingulate), 대상이랑의 협부(both isthmus cingulate), 상두정수리소엽(both superior parietal), 하두정엽(both inferior parietal), 변연상이랑(both supramarginal), 좌측 후중심이랑(left post central), 우측 상부측두고랑(right bank of the superior temporal sulcus), 중측두이랑(right middle temporal), 전대상피질(right rostral anterior cingulate), 뇌섬엽(right insula)의 두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05). 그 중 평균 차이의 크기(cohen’s d)가 큰 영역은 좌측 fusiform (d=0.82), pars opercularis (d=0.94), superior frontal (d=0.88), 우측 lateral orbito frontal (d=0.85), pars orbitalis (d=0.89) 로 나타났다. 또한, PANSS와 양측 대뇌 피질의 평균 두께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left hemisphere r=-0.234, right hemisphere r=-0.230)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정상인과 비교하여 기분장애 환자의 피질 두께 감소영역을 확인하였고 질환의 증상 정도와 피질 두께 변화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d the cortical thickness of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and a control group to assess structural abnormalitie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20 to August 2022 at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P Hospital in Yangsan, Gyeongsangnam-do. The study included 44 individuals diagnosed with mood disorders and 59 healthy individuals without any pathological lesions. The 3D-T1 MPRAGE images obtained from magnetic resonance imaging examinations were utilized, and FreeSurfer software was employed to measure cortical thickness. Statistical analysis involved independent samples t-tests to measure the differences in means between the two groups, and Cohen's d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 sizes of the differences. Furtherm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average cortical thickness and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scores was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exhibited decreased cortical thickness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in both superior frontal regions, both rostral middle frontal regions, both caudal middle frontal regions, both pars opercularis, pars orbitals, pars triangularis regions, both superior temporal regions, both inferior temporal regions, both lateral orbitofrontal regions, both medial orbitofrontal regions, both fusiform regions, both posterior cingulate regions, both isthmus cingulate regions, both superior parietal regions, both inferior parietal regions, both supramarginal regions, left postcentral region, right bank of the superior temporal sulcus region, right middle temporal region, right rostral anterior cingulate region, and right insula region. Among them, regions that showed differences with effect sizes of 0.8 or higher were left fusiform (d=0.82), pars opercularis (d=0.94), superior frontal (d=0.88), right lateral orbitofrontal (d=0.85), and pars orbitalis (d=0.89). Additionally, there was a weak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NSS scores and average cortical thickness in both the left hemisphere (r=-0.234) and right hemisphere (r=-0.230).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identifying areas of cortical thickness reduction in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compared to healthy individuals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severity and cortical thickness chang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훈(Do-Hun Kim),이효영(Hyo-Young Lee). (2024).기분장애 환자의 대뇌 피질 두께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18 (2), 73-81

MLA

김도훈(Do-Hun Kim),이효영(Hyo-Young Lee). "기분장애 환자의 대뇌 피질 두께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18.2(2024): 73-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