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옥화>(1958)에서 나타난 영화적 지도그리기 : 지형학에서 위상학으로의 변위가 가지는 공간적 함축

이용수 462

영문명
Cinematic Cartography in The Flower in Hell: Spatial Implications of the Transposition from Topography to Topology
발행기관
한국문화연구학회
저자명
남승석(Nam, Seungsuk)
간행물 정보
『문화연구』제6권 제1호, 3~70쪽, 전체 6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10,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58년 제작된 신상옥의 영화 <지옥화>를 서울의 영화적 지도그리기에 의한 생산물로 간주하고, 1950년대 서울에 대한 영화적 공간을 구성하는 물류의 흐름, 즉 한국 전쟁 직후의 도시 서울의 경제생태학이 영화적 지도그리기를 통하여 어떻게 표현되는지 고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문화연구에서 지정학적 공간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으로, 인식론적 틀로서 대안적 지도그리기 개념을 모색하는 것이다. 2000년대 이후 ‘지도그리기(Cartography)’에 대한 개념은 많은 주목을 끌면서 점차 하나의 학문적 논의의 중심 틀로 발전해 왔다. ‘지도그리기’는 사회과학과 인문학 분야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는 ‘공간적 선회’에 대한 대답으로, 지리정보를 담는 인공적인 생산물로서 지도의 의미뿐만 아니라 그 범주를 뛰어 넘어 지도그리기 과정 자체에 중점을 둔 독립적인 주제로서의 길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기존의 지도그리기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채택된 관습적인 기술 또는 운용이었다면 최근에 대두되는 논점은 영화적 지도그리기를 포하는 대안적 지도그리기의 목적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다음의 가설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958년 신상옥이 제작한 영화 <지옥 화>(1958)는 한국전쟁이후 미군의 무상원조로 작동하고 있던 비정상적인 경제 생태학적 흐름의 서울 공간을 3각 관계를 통해서 드러낸 멜로드라마적 감성의 영화적 지도그리기이다.” <지옥화>의 제작배경과 내용은 남한에대한 미국 군정이 시작 되었던 1945년부터 1948년까지의 군사⋅문화적 지배를 염두에 두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1950년대 시작된 한국전쟁과 그 이후 지속되어 온 미국의 무상원조에 기반을 둔 남한의 경제구조의 모순을내포하고 있다. <지옥화>는 당시 경제생태학적 물류의 흐름과 그 상황 속의 민중이 가진 감성을 서사적으로 재현하기 위해서 지형학에서 위상학으로의 변위를 시도한다. 본 연구자는 지형학에서 위상학으로의 변위가 가지는 공간적 함축을 다음과 같이 개념화하려 한다. 집단 표상으로서의 집단기 억은 바로 사회적⋅개인적 기억과는 별도로 ‘문화적 기억(Cultural Memory)’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인식론적 틀로서 지도의 구성양식 중 벡터(방향+강도) 개념에 기반을 두는 ‘플룩투스(Fluctus)’의 개념을 제안한다. ‘플룩투스’는 민족 또는 집단의 정체성과 관련된 행위의 효과인 ‘맹목적인 이끌림’과 ‘지속적인 흐름’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지형학에서 위상학 으로의 변위의 순간, ‘플룩투스’는 특정한 어떤 지점에서 지점으로 연결하는방향과 세기의 물리적인 개념이기 보다는 집단의 정체성과 관련된 거대한흐름 속에 개인들의 흐름을 개념화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연구는 ‘플룩투스’을 통해서 문화적 기억이 민족, 집단, 국민의 정체성과 관련된 거대한 방향성을 재현하고 있다는 가설을 설명하기 위한 단초를 마련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n epistemological framework through alternative cartography in order to research visual cultural studies, such as an analysis of logistics flow and an explanation of political space. In this study, we select the Korean film The Flower in Hell which was produced in 1958 as a research subject applying this epistemological framework. This study interprets The Flower in Hell as a cinematic cartography of Seoul and examines the flow of cinematic space relations in Seoul in the 1950s, ie how urban economic ecology is represented. Recently, the concept of ‘cartography’ has been transformed into a trendy concept, attracting much attention. ‘Cartography’ is an answer to ‘Spatial Turn’, widely recognized in th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field, and it has the meaning of map as an artificial product that contains geographical information. Conventional map drawing was the conventional technique or operation adopted to achieve the purpose. On the other hand, the recent research debate involves the purpose of drawing alternative maps, including drawing cinematic maps.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hypothesis. In 1958, Shin Sangok’s film The Flower in Hell made a strange flow of economic ecology, which had been operating as a gratuitous aid to the US military since the Korean War, through a melodramatic three-way relationship with emotional and cinematic cartography. The background and content of The Flower in Hell is that military and cultural dominance from 1945 to 1948 when the US military establishment against South Korea began. And further contradicts the economic structure of South Korea based on the Korean War that began in 1950 and its subsequent gratuitous US aid. Shin Sang-ok attempts to shift from topography to topology in order to reproduce the flow of economic ecological logistics and the emotions of the people in the situation in he Flower in Hell. This researcher attempts to conceptualize the spatial implications of topographic displacement. There are two aspects to the binding of knowledge preserved in cultural memory; formative and normative. Jan Assmanne says that The concept of cultural memory consists of texts of reconfigurable texts, images and ceremonies unique to each society in each age. The epistemological framework proposed by this study is named as ‘Fluctus’ based on the concept of vector (direction + intensity) of the map configuration style. ‘Flectus’ is a concept that explains ‘blind attraction’ and ‘continuous flow’ as the effect of the act related to the identity of the nation or group. ‘Flectus’ has spacial implications to conceptualize the flow of individuals in a huge flow related to group identity from the topography to the topological shift rather than a physical concept of direction and intensity connecting certain point to poi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asis for explaining the hypothesis that cultural memory recreates the huge direction related to the identity of a group through ‘Flectus’.

목차

1. 서론 및 문제제기
2. <지옥화>의 구조와 정치⋅경제적 배경
3. 영화적 지도그리기 : 지형학에서 위상학으로
4. <지옥화>의 1950년대 서울의 영화적 지도그리기
5. 결론을 대신하며 : 시대적 맥락과 ‘플룩투스’ 개념 제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승석(Nam, Seungsuk). (2018).<지옥화>(1958)에서 나타난 영화적 지도그리기 : 지형학에서 위상학으로의 변위가 가지는 공간적 함축. 문화연구, 6 (1), 3-70

MLA

남승석(Nam, Seungsuk). "<지옥화>(1958)에서 나타난 영화적 지도그리기 : 지형학에서 위상학으로의 변위가 가지는 공간적 함축." 문화연구, 6.1(2018): 3-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