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일경제특구 조성과 활성화를 위한 입법방안 연구:

이용수 266

영문명
A Study on Legislative Measures for the Creation and Activation of the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Focusing on the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Bill」
발행기관
한국부동산법학회
저자명
심민석(Sim, Min-seok)
간행물 정보
『부동산법학』부동산법학 제22집 제1호, 85~12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제20대 국회 내에 계류 중인 김현미, 김성원, 홍철호 의원이 발의한 통일경제특구법률안은 개성공업지구와 연계할 남한 내의 북한과의 접경지역에 산업단지를 조성하여 각종의 규제를 완화하고 기업의 경제활동의 자율성과 투자유인을 최대한 보장하여 남북한 간의 경제적 이윤과 협력을 활성화함으로써 남북한 간의 평화로운 경제 지대를 구축하고, 향후 평화통일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특별경제구역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 입법안들은 남북한 간의 경제협력과 평화통일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입법안들이므로 문제가 될 수 있는 쟁점들을 미리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동 논문에서는 현행 「경제자유구역특별법」과 입법안들을 상호 비교하여 검토해 보았으며, 전면중단되어 있는 개성공업지구 재가동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첫째는 통일경제특구에 관한 사무수행을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으로 통일경제특별구역위원회를 설립하고, 실무적인 행정부서를 통일부 내에 설립하며, 통일경제특별구역의 지방행정을 담당할 수 있는 지방행정기관을 설립하는 것이다. 둘째는 현행 국토관리계획체계 순위에 부합하도록 통일경제특 구법안도 「경제자유구역특별법」 제3조와 같이 동일하게 규정하여야 한다. 셋째는 문화재보존대책에 관한 사항을 입법해야 한다. 넷째는 「접경지역 지원 특별법」에 ‘접경지역’이라는 용어를 정의하고 있으므로 ‘북한 인접지역’이라는 용어보다는 ‘접경지역’으로 입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는 흡수통일의 이미지를 줄 수 있는 ‘평화통일경제특별구역’, ‘통일경제특별구역’, ‘남북통일경제특별구역’이라는 명칭보다는 경제협력의 이미지를 강하게 줄 수 있는 ‘남북경제협력특별구역(가칭)’으 로 명칭을 변경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성공단을 재가동하기 위해서는 개성공단에서 이루어지는 남북한 간의 상업적 거래는 북한의 핵무기개발과 대륙간탄도미사일개발에 기여하는 것이 아니고, 열악한 북한 주민들의 생활비용에 기여하기 위한 것임을 국제사회에 투명하게 관철시키고, 남북한 간의 평화와 통일을 달성하기 위한 교두보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과 북한의 사회경제 시스템의 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불가피한 행위임을 국제사회에 호소하여 설득시켜 사전에 유엔 안보리의 승 인을 받아 개성공단이 재가동될 수 있도록 정치・외교적으로 많은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bill for the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initiated by Hyun-mi Kim, Seong-won Kim, and Cheol-won Hong, is currently pending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The bill aims to create an industrial complex in the border area of North Korea in the South that will be linked to Kaesong Industrial Zone. The bill is aimed at mitigating various regulations, assuring autonomy and investment incentives for economic activities, promoting economic profits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creating a peaceful economic zon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refore, these bills are very important for establishing economic cooperation and peaceful unific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ssues that may be problematic in advance.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current 「Special Act on Free Economic Zones 」 and the legislation,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restarting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hich has been shut down. To summarize this briefly, the first is to establish a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committee under the Prime Minister for the operation of the Special Economic Zone, to establish a practical administrative department in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o establish a local administrative agency in the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Second, the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bill」 should be stipulated in the same way as Article 3 of the 「Special Act on Free Economic Zones」 in order to comply with the ranking of the national land management planning system of the current law. Third, provisions on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stipulated in the 「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bill」. Fourth, since the term “bordering area” is defined in the 「BORDER AREA SUPPORT ACT」, it is desirable to legislate as “bordering area” rather than “North Korea s neighboring area”. Fifth, since the name of Special Economic Zone for Peaceful Unification ,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 and North and South Korea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can give an image of absorption unification, it is better to change the name to “Special Economic Zone for Economic Coope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tentative name).” In order to restar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persuad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commercial transac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are not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 s nuclear weapons and the development of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but to contribute to the living costs of the poor North Koreans. The second is to play a role as a bridgehead for achieving peace and unific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third is an inevitable act to bring about changes in the North Korean social and economic system. In this wa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make a lot of political and diplomatic efforts to obtain the prior approval from the UN Security Council for the restart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목차

Ⅰ. 서론
Ⅱ. 개성공업지구 법령 및 운영체계와 성과
Ⅲ. 통일경제특구법안의 주요내용과 쟁점
Ⅳ. 통일경제특구 조성과 활성화 입법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민석(Sim, Min-seok). (2018).통일경제특구 조성과 활성화를 위한 입법방안 연구:. 부동산법학, 22 (1), 85-122

MLA

심민석(Sim, Min-seok). "통일경제특구 조성과 활성화를 위한 입법방안 연구:." 부동산법학, 22.1(2018): 85-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