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140년 외교문서로 본 고려-금 의사소통의 구조

이용수 284

영문명
The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Koryŏ and Jin in the 12 th Century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정동훈(Jung, Donghu)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82집,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인지문사륙(東人之文四六) 권4에 실린 「사회부도배인표(謝回付逃背人表)」는 고려와금 사이의 월경자(越境者) 처리에 관한 흥미로운 사실을 알려준다. 고려의 동북 지역에서 금으로 도망친 인물을 송환하는 과정에서 정보 전달과 행정 처리는 고려의 서북쪽 최전선의 행정 기구인 영덕성(寧德城) 및 그곳과 마주보고 있는 금의 최전선 행정기구 내원성(來遠城) 사이 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사건이 발생한 지점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의사소통이 이루어 졌던 것을 보면 이 두 곳이 양국 사이의 상시적 접촉 창구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고려와 금은 국경을 길게 맞대고 있으면서도 12세기 내내 한 세기에 가깝게 큰 갈등을 겪지 않고 안정적인 외교관계를 유지하였다. 그 배경 의 하나로 양국이 여러 층위의 의사소통 채널을 가동하고 있었던 점을 들 수 있다. 양국 중앙정 부는 매년 정기적으로 사신을 주고받기는 했으 나, 이들은 대부분 의례적인 목적을 띠고 있었 다. 양국 사이에서 수시로 발생한 민감한 현안을 처리하는 데는 군주가 아니라 그보다 아래 층위 에서 나섰다. 요동(遼東) 일대를 관리하는 금의 통치 거점이었던 동경(東京, 현재의 랴오닝성 랴오양)이 고려 정부와의 외교 교섭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또한 국경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던 고려의 영덕성과 금의 내원성도 끊임없이 문서를 주고받으며 현안에 신속하게 대응하 였다. 여러 소통 주체들이 역할을 나누어, 낮은 층위에서 구체적인 협상을 마무리하고, 높은 단계로 갈수록 논의의 내용을 추상화하고 우호적으로 수식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여러 채널의 의사소통 구조는 11세기 고려와 거란의 관계에서 이미 마련되고 활발하게 가동되던 것이었다. 또한 이는 당시 금ᆞ송ᆞ 고려ᆞ서하 등이 참여한 복잡한 국제관계 전반 에서도 확인된다. 이것이 당시 여러 정치체들이 공존했던 국제질서가 비교적 평화롭게 유지될수 있었던 하나의 비결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als with the three-layered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Koryŏ and Jin in the 12 th century. Despite many uncertainties, the two countries were able to maintain stable diplomatic relations without major conflicts for nearly a century. Communication at different levels made important contributions to peace. Regular matters were handled by frequent contact between government branches near the border. Whenever important issues arose, Koryŏ s local government and Jin s Eastern Capital(東京) coordinated their opinions before negotiations took place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s. Therefore, the two countries monarchs only exchanged envoys regularly for ritual purposes such as birthday celebrations. The various channels had different roles: specific negotiations were conducted at a lower level, while the higher the level, the more abstract and friendly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s became. This multilayer communication system was also found in the pluralistic international relations that involved Jin, Song, Koryŏ, and Xià in the 12 th century, and it played a crucial role in keeping the international order of the day peaceful.

목차

1. 머리말
2. 1140년 외교문서의 분석
3. 국경 지대 관부 사이의 문서 교환
4. 고려 조정과 금 동경(東京) 사이의 문서 교환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동훈(Jung, Donghu). (2018).1140년 외교문서로 본 고려-금 의사소통의 구조. 동방학지, 182 , 1-31

MLA

정동훈(Jung, Donghu). "1140년 외교문서로 본 고려-금 의사소통의 구조." 동방학지, 182.(2018):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