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32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 of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on Place Attachment, the Value Perception and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s in Museum: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김혜영(Kim Hae Young) 김세준(Kim Sae June)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30집, 185~21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5.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과 관람객을 도시발전의 수단, 혹은 서비스의 차원에서 측정하고 평가하는 기존의 정책과 마케팅 계획과 다르게 박물관이라는 장소와 관람객 사이에서 정서적으로 가치를 지각하고 장소성을 이끌어내는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근거에서는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을 제시하고 이 요인들이 장소애착을 매개로 하여 가치지각과 관람행위의 결과로 이어지는 과정을 검증하였다. 우선 국내외 사례와 관련 이론을 고찰한 결과, 장소성 구축의 형태는 유형의 역사·문화 자산이 가지고 있는 기억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장소성을 구현하거나, 의도적으로 장소성을 새롭게 부여하여 그 공간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전환, 즉 재생하는 두 가지 경우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두 가지 형태가 동시에 발현되고 있는 정동지역의 박물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첫째, 장소성 형성요인과 장소애착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세부 가설에서 정동지역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을 물리적, 활동·행태적, 심리적 요소로 구분하였을 때 장소성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위치와 대중교통의 편리성, 외관의 매력성, 내부 환경의 편안함과 같은 물리적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동지역 박물관의 장소성을 장소애착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장소정체성과 장소의존성 요소로 구분한 결과 정동지역 박물관의 장소애착은 그 장소의 기능보다는 감정적, 상징적인 이유로 애착을 갖게 되는 장소정체성과 관련된 요소만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동지역 박물관에 방문한 관람객이 인지한 장소성 형성요인은 장소애착을 매개로 하여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의 매개효과 없이 직접적으로 지각된 가치에 주는 영향은 유의한 값이 나오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박물관 관람객의 지각된 가치와 본 연구모형의 최종 종속변인인 관람행위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는 관람객의 지각된 가치가 높을수록 방문만족도, 추천의도, 재방문의사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박물관은 기능적이고 물리적인 필요 이상의 의미가 존재하는 장소이므로 그 가치를 평가할 때 장소성 관점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장소성 형성구조가 후속 연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확보에 기여하기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sugges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in museum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and examine the process that those factors are connected to the results of the value perception and visitor’s behavior through the medium of place attachment. First of all, domestic and overseas cases and relative theories were considered. As the result, forms of establishing sense of place can be divided into two cases such as implement of placeness with memories and images of formative historic·cultural assets or changing, regeneration, of existing awareness on the space by giving new placeness intentionally.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museums in Jeong-dong with both of the two forms and research model was drawn by predictors of outcome such as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place attachment, the value perception and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which verifi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in museums of Jeong-dong were divided into physical, active·behavi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detailed hypothesis which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and place attachment, physical factors such as location,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ttractiveness of appearance and comfort of internal environment made the most effects on placeness forming. Second, the placeness of museums in Jeong-dong was divided into place identity and place dependence so as to explain with place attachment. As the result, place attachment of museums in Jeong-dong can be explained with only factors related to place identity. Place identity is the attachment caused by emotional and symbolic reasons rather than functions of the place. It indicates, visitors of museums in Jeong-dong feel that the place they visit is deeply related to themselves and very special, furthermore, visiting of the place explains and feels who they are. Third,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recognized by visitors visiting museums in Jeong-dong made an effect on the value perception whose medium was place attachment. The effects tha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made on the value perception directly without mediating effect of place attachment didn’t show significant value. Finally, in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perception of museum visitors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s which are the final dependent variable of this research model, visiting satisfaction, recommendation intentions and revisiting opinion were increased as the value perception of visitors was higher. Particularly, revisiting intention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value perception the mostly, so the necessity to form place attachment of museums was confirmed once again.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mplied are as follows. First, process and degree of contributing to place attachment must be considered rather than establishment of detailed factors so as to connec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to positive results such as revisiting,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Second, place attachment is made when they can interpret and experience by adding active·behavioral factors such as history, time, etc. to physical factors. In this sense, historic·cultural assets are very useful to form placeness of museums. There are a few studies on placement in the field of domestic museums. So, research model drawn by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latively following researches. In the future, in-depth and objective studies must be conducted for museums which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and qualitative studies which consider various variables are necessary.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영(Kim Hae Young),김세준(Kim Sae June). (2014).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30 , 185-217

MLA

김혜영(Kim Hae Young),김세준(Kim Sae June).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30.(2014): 185-2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