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예술교육정책에서의 창의성 인식에 관한 비판적 연구

이용수 382

영문명
A Critical Study of the Concept of Creativity Reflected in the Korea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Context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최보연(Choe Bo Yun) 김세훈(Kim Se Hun)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30집, 5~3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5.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문화예술교육정책에서 창의성 개념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 며, 이러한 인식이 기존 학문적 논의에서 다뤄진 창의성 개념과 어떠한 유사성 혹은 차별성을 갖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정책적 맥락에서 사용되고 있는 창의성 인식의 문 제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아동·청소년의 창의성 제고를 목 표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관 하에 진행되어온 「예술꽃씨앗학교」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을 사례분석의 상으로 삼는다. 각 사업이 제시하는 정책목표 및 해당 사업의 효과성 분석에 있어 활용된 창의성 평가지표를 살펴봄으로써, 정책 논의 및 실행에서 드러나는 창의성 인식의 특성을 분석·제시한다. 연구결과, 문화 예술교육 정책에 반된 창의성 인식은 ‘개인의 창의성이 집합적 창의성으로 발현될 뿐 아니라 경제 및 사회발전의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암묵적 전제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사실상 개인의 특질로서의 창의성 개념에 천착하고 있으며, 개인의 창 의성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회발전 및 경제발전의 동력(즉, 집합적 창의성)으로 작 동할 수 있는가에 한 명확한 근거제시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 과에 근거하여,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정책에서의 창의성 논의가 문화예술의 일반 적 창의성 논의를 단순히 차용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차원에서 보다 심층적으로 전 개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ways in which the concept of creativity is recognized and utilized in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context, by way of analysing how they are differentiated from or resembled with the recent scholarly discussions of creativity. To this end, the study employs a case analysis of two specific government-initiate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projects: ‘the Arts-Flower Seed School Project’ and ‘the Kumdarak Saturday Cultural School Project’. It examines how creativity is conceptualized in each project’s suggested policy goals as well as the creativity index applied for the policy evaluation of the respective project’s effectiveness; and identify som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s a policy concept in the Korea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context. Analyses provide evidence that whilst creativity is rhetorically assumed as an instrumental resource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prosperity, there is a lack of evidence, as well as understanding, of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 creativity can become transformed into collective creativity that brings about, namely, nat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prosperity. The study also points out that there is an innate tension between creativity of the arts and cultural field and creativity as a policy concept. It argues for a crucial need of the current discussions of creativity in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context to be rigorously re-examined.

목차

I. 서 론
II. 창의성에 대한 다양한 이해
III. 정책적 맥락에서의 창의성 인식에 관한 분석
I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보연(Choe Bo Yun),김세훈(Kim Se Hun). (2014).문화예술교육정책에서의 창의성 인식에 관한 비판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30 , 5-34

MLA

최보연(Choe Bo Yun),김세훈(Kim Se Hun). "문화예술교육정책에서의 창의성 인식에 관한 비판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30.(2014): 5-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