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秋史 金正喜의 學書方法論에 대한 考察

이용수 149

영문명
A Consideration of Chusa Kim Jeonghui’s Methodology of Learning Calligraph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김광욱(Kim Kwang Ug)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2호, 81~10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서론(書論) 가운데 학서방법론(學書方法論)을 고찰하였다. 추사의 학서의 방법은 ‘유당입진(由唐入晉)’과, ‘선북후남(先北後南)’, 및 ‘상진폄모(尙眞貶摹)’의 측면으로 분류된다. 첫째, 추사는 진(晉)나라 글씨는 배우기 어려워서 당(唐)나라 글씨의 법도를 능숙하게 익힌 후에야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정서(正書)의 학습교재로 구양순(歐陽詢)의「화도사비(化度寺碑)」ㆍ「구성궁예천명(九成宮醴泉銘)」과 우세남(虞世南)의「공자묘당비(孔子廟堂碑)」가 가장 적합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당나라를 경유하여 진나라로 들어가는 것이 학서(學書)의 지름길이자 정도(正道)라고 보았다. 그의 학서방법에서 핵심은 주로 당나라의 구양순, 저수량(褚遂良), 우세남 글씨를 범본으로 삼는 것이었으며, 입문과정은 당나라를 거쳐 진나라로 들어가야 한다는 ‘유당입진론’으로 귀결시킬 수 있다. 둘째, 추사는 서법이 변천함에 따라 유파(流派)도 남북으로 섞여서 그 근원을 소급하지 않으면 옛 것을 알지 못한다고 피력하였다. 그는 한(漢)․ 위(魏) 이하 금석의 문자가 수천 종이 되어 종요(鍾繇)와 삭정(索靖) 이상을 소급하려면, 반드시 북비(北碑)를 많이 보아야 그 원류를 인지할 수 있다고 보았다. 서가는 반드시 왕희지(王羲之)와 헌지(獻之) 부자를 준칙으로 삼지만, 이왕(二王)의 글씨는 세상에 전본(傳本)이 거의 없으며, 진적으로 보존된 것은 왕희지의「쾌설시청첩(快雪時晴帖)」과 헌지의「송리첩(送梨帖)」뿐이어서 모두 계산해도 100자를 넘지 않는다고 하였다. 육조(六朝)의 비판(碑版)은 자못 전본이 있어 구양순과 저수량 모두 여기에서 나왔기 때문에 북비를 많이 보아야 글씨의 본령이 어디에서 나왔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선북론(先北論)’에 방점을 찍은 내용이라 하겠다. 셋째, 추사는「구성궁예천명」의 원석(原石)과 탑본(搨本)이 그대로 남아 있으므로 이것이 아니면 종요와 삭정의 옛 법을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황정경(黃庭經)」은 진나라의 글씨가 아니고, 「악의론(樂毅論)」은 이미 그 당시에 선본(善本)이 없어져서 표준으로 삼을 수 없으며, 「유교경(遺敎經)」은 당나라 경생(經生)의 글씨라서 부득이 진적(眞跡)에 비해한 등급이 낮고 후세 석각(石刻)의 수차례 번모(飜摸)한 것에 비할 바가 아니라고 인식했다. 학서의 요체는 잠심(潛心)하면서 힘써 인내하고, 이러한 관문을 넘어서야만 명쾌한 깨달음을 얻게 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그러므로 추사의 학서 요결은 진본중시(眞本重視)와 모본폄하(摹本貶下)의 ‘상진폄모론’으로 정의할 수 있겠다. 본고는 추사의 학서방법론을 바탕으로 오늘날 서가들이 임서와 창작에 적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hodology of learning calligraphy among Chusa(秋史) Kim Jeonghui(金正喜, 1786-1856)’s calligraphy theories. It investigated the methodology dividing into three. The first is a theory of reaching the status of the calligraphy of Jin(晉) through acquiring that of Tang(唐)[由唐入晉論]. Chusa argued that it was possible to learn the calligraphy of Jin only after acquiring that of Tang because it was difficult to learn the calligraphy of Jin directly. He also suggested OuyangXun(歐陽詢)’s 「Huadusibei(化度寺碑)」, 「Jiuchenggongliquanming(九成宮醴泉銘)」and Yushinan(虞世南)’s「Kongzimiaotangbei(孔子廟堂碑)」as textbooks of normal script. He insisted that reaching the status of the calligraphy of Jin through acquiring that of Tang was a shortcut and a right path to learn calligraphy. The key of his methodology of learning calligraphy was to follow the example of calligraphy of OuyangXun, ChuSuiliang(褚遂良) and Yushinan, and the introductory process can be concluded the theory of reaching the status of the calligraphy of Jin through acquiring that of Tang. The second is a theory of learning northern steles first before southern books. Chusa said that it was not possible to know the old thing without tracking back to its origin because schools have been mixed with the north and the south as the calligraphy has been changed. He insisted that because thousands of epigraphic characters have existed since Han(漢) and Wei(魏) dynasty, if we wanted to track back to ZhongYao and SuoJing, we should see a lot of northern steles so that we could recognize the origin. He also said that calligraphers must set WangXizhi and WangXianzhi as an example, but their writings were rarely preserved, and the preserved genuine articles were only WangXizhi’s 「Kuaixueshiqingtie(快雪時晴帖)」and WangXianzhi’s「Songlitie(送梨帖)」, so that the number of characters did not exceed 100. By the way, the steles from Six Dynasties(六朝), which the calligraphy of OuyangXun and ChuSuiliang had been rooted in, had been preserved a lot. Therefore, he insisted tha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where the characters were originated from only if seeing a lot of northern steles. It was the key of the theory of learning northern steles first. The third is a theory of pursuing the genuine articles and disparaging the imitations. Chusa emphasized that we could not track back to the old law of ZhongYao and SuoJing without 「Jiuchenggongliquanming」because the original stone and its rubbed copy preserved. He insisted that「Huangtingjing(黃庭經)」was not the writing of the Jin Dynasty, and that「Yueyilun(樂毅論)」 could not be an example because the best version has been lost. He also said that the grade of 「Yijiaojing(遺敎經)」was lower than that of the original article because it has been written by a classics scholar, but it was much better than the stone carving copies undergone numerous changes. The essence of Chusa’s method of learning calligraphy could be defined as the theory of pursuing the genuine articles and disparaging the imit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presenting an opportunity for today’s calligraphers to take advantage of Chusa’s methodology of learning calligraphy in emulating and creating.

목차

Ⅰ. 序言
Ⅱ. 由唐入晉論
Ⅲ. 先北後南論
Ⅳ. 尙眞貶摹論
Ⅴ. 結語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광욱(Kim Kwang Ug). (2018).秋史 金正喜의 學書方法論에 대한 考察. 서예학연구, (32), 81-104

MLA

김광욱(Kim Kwang Ug). "秋史 金正喜의 學書方法論에 대한 考察." 서예학연구, .32(2018): 81-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