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운 최치원의『四山碑銘』에 나타난 풍류성

이용수 240

영문명
A Study on Pungryu in [Sasanbimyeoung] of Goun Choi Chiwon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김미례(Kim mi rey)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2호, 33~5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운 최치원(857-?)은 신라 말기 학자로 경주 최씨의 시조로 받들어진다. 그의 사상과 종교적 성향으로 볼 때 유자이면서도, 불교 및 도교사상을 깊이 체득하고 융화한 인물이었다. 다양한 사상을 추구한 최치원은 儒․佛․道 합일이란 차원에서의 ‘風流’를 말하였다. 철학적 풍류이면서 미학적 풍류라는 특징을 갖는 이러한 풍류는 어느 하나만을 고집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은 보다 구체적으로 ‘허정무욕의 담박성’, ‘독선기신의 은일성’, ‘원융무애의 돈오성’으로서의 풍류로 잘 나타난다. 그는 신라에 돌아온 후에도 중국 불교계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여 많은 불교적 글과 고승의 전기를 찬술하였다. 그 중 가장 뛰어난 것이『四山碑銘』이다. 『四山碑銘』은 세 승려와 사찰건립에 관한 것을 王命에 의하여 기록한 것으로 이 네 편의 金石文이 모두 불교와 관계되는 비문들이다. 그러므로 그의 불교관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資料이기도 하며 동양사상 전반을 이해할 수 있는 글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유가의 도덕규범으로 사회를 평가할 정도로 유가원전의 옛 구절들을 인용하였다. 詩․書․易․禮記․春秋五經․四書는 물론 그 밖의 유가경전을 두루 인용한 비문은 여느 비문과 달리 유․불․도 삼교사상이 서로 混融無礙하게 어우러져 있다고 하겠다. 최치원의 행적을 보면 뛰어난 능력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이상과 포부를 세상에 드러내지 못하고 결국 좌절하고 만다. 육두품이라는 신분적 한계와 편견 때문에 소외된 삶을 살았으며, 자신이 품은 이상과 현실의 벽으로 인해 세속적인 삶이 부질없고 속절없음을 깨닫게 된다. 수많은 고뇌와 번민으로 자연으로 귀의하게 되지만 그의 자연귀의는 안빈낙도의 삶을 지향하는 게 아닌 외부의 환경에 의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시비를 가리는 삶에서 벗어나 자연에 은둔하면서 은일적 풍류의 삶을 영위한다. 이러한 삶은 안빈낙도의 삶을 초월한 天命에 의한 安命의 삶을 승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Goun Choi Chiwon (857-?), a scholar in the late Unified Shilla era, has been worshipped as the primogenitor of the Choi from Gyeongju. Choi was not only self-claimed follower of Confucius based on Confucianism, but also deeply understood and reconciled with philosophy of Buddhism and Taoism.Goun who pursued the convergence of various philosophies like th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mentioned Pungryu as the convergence of those. The Pungryuwhich has philosophy as well as aesthetic does not favor only one of these. This idea has been shown well as various find of Pungryuin the self-forgetfulness, seclusion and sudden enlightenment. After his return to Shilla, he maintained close ties with Chinese Buddhist community and wrote many kinds of books and biographies of Buddhist high priests Buddhist. The most famous his text is 『四山碑銘』. The『四山碑銘』about three monks and the construction of temple which was recorded by Wang Ki. All four of them are related with Buddhist inscriptions. Therefore, it is a precious text to understand him as a Buddhist, and it can be interpreted as an article that can let us understand the oriental philosophy. Particularly, he quoted the old verses from Yugagyungjeon to evaluate the society in moral norms. This text well contains al the ideas from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Despite of his superior ability, he faced against a wall and could not able to realize his ideal. He lived a marginalized life due to the limitations of social class and prejudice. Finally, he realized that the place where he lived is vain and led an isolated life. After countless agony and anguish, he headed back to a life in nature, but this was an inevitable choice under that circumstances. His life in the nature in Pungryu of seclusion let us know that his life rises above the world and sublimate his life into peaceful and eternal lif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虛靜無慾의 澹泊性
Ⅲ. 獨善其身의 隱逸性
Ⅳ. 圓融無碍의 頓悟性
Ⅴ.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례(Kim mi rey). (2018).고운 최치원의『四山碑銘』에 나타난 풍류성. 서예학연구, (32), 33-58

MLA

김미례(Kim mi rey). "고운 최치원의『四山碑銘』에 나타난 풍류성." 서예학연구, .32(2018): 3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