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성 교육을 위한 시․도 교육청 정책 지원 방향 탐색

이용수 149

영문명
A study on the supporting policy for school creativity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석민(Choi Seok M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1권 2호, 261~28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창의성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개인과 기업, 나아가 국가 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창의성은 현재 우리가 속한 지식 사회에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핵심 능력과 태도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듯, 창의성 교육 은 국가수준에서건, 시․도 교육청 수준에서건 학교 지원의 핵심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도 교육청의 창의성 교육 정책들이 창의성과 관련된 특정한 준거에 서 학교의 준비 및 실천 정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정책적 지원을 실천하려고 한다 는 점에서 정책의 방향 설정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런 접근은 이론상의 완전함 에 준거를 두고 현재의 도달 수준을 평가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그 대답에 충분함을 논 리적으로 가정하기 힘들며, 그 근본 가정에서 교육의 많은 메타원리 중 하나로서 창의 성을 보지 못하게 만든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접근은 학교 현장의 실제 (reality)의 관점에 근거한 연구를 통해 보충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초․중학교 교사와의 다양한 면담을 통해 이를 드러내려고 하였다. 그 결과 현재 창의성의 교육적 중요성에 대해 현장 교원들은 충분히 공감하고 있으 나 창의성 교육과 학력 중시 풍토, 창의성 교육과 진도 나가기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창의성을 중심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학교의 평가가 개편 되지 않으면 그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일상적 교육활동과 창의성의 교육 이 분리되거나 교과 수업 목표와 창의성 교육 목표가 통합되지 않을 경우, 실적 중심 교육 정책이 지속될 경우, 학교 현장에 과도한 부담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면담 자료에 기초하여 시․도 교육청에서 창의성 교육을 정책적으 로 지원하는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핵심에는 학교를 중심 에 둔 창의성 교육 정책의 추진 만이 현장 착근력과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자 한다.

영문 초록

Nowadays,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education has taken as a matter of course. To raise one s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the creativity is considered as one of the core elements of human agency. So Korean government and many offices of education have developed many kinds of supporting policy for school creativity education. But the main approach of supporting policy is as follows.; after analyzing or appraising the readiness of school creativity education in a particular way, then it tries to support the insufficiency. If school were seen in this way, then it should be only fair that school were always in the states of lack. For me, this approach needs something supplementary one. So I talked over the problems of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school reality with teachers; an email questionnaire, group meeting, face to face talk with the school visit, and the conclusions are 1) teachers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education, 2) but added on approach put teachers in an awkward situation. 3) Revisions of national curriculum, school exam, and Korean SAT towards creativity education are strongly needed. Finally, I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the supporting policy for school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those interview. The gist of my argument is that the best one for it is to assist making school members to improve power of autonomous intellectual inquiry.

목차

Ⅰ. 시작하며
Ⅱ. 학교 창의성 교육을 진단 방식
Ⅲ. 시․도 창의성 교육 정책 기획의 방향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석민(Choi Seok Min). (2011).창의성 교육을 위한 시․도 교육청 정책 지원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 (2), 261-281

MLA

최석민(Choi Seok Min). "창의성 교육을 위한 시․도 교육청 정책 지원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2(2011): 261-2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