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원 만수리 구석기유적의 석기공작 비교연구

이용수 205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Stone Industry through Stone Analysis of Locality 4 on the Mansuri Paleolithic Site, Chungwon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김기룡(KIM Ki ryong)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24호, 3~2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만수리 구석기유적은 남한의 중부지방에 해당하는 미호천변에 위치한 유적으로 모두 14개의 지점에서 발굴조사 이루어졌다. 이 중 퇴적층이 가장 잘 남아있는 4지점으로 중기~후기에 이르는 플라이스토세에 형성된 퇴적층이 크게 8개 층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이 중 5개의 유물포함층이 확인되고 있다. 만수리 구석기유적의 연대는 화산재분석, OSL분석, ²⁶Al-¹⁰Be분석을 통해 2만년에서 55만년에 이르는 퇴적층의 연대 범위가 확인되었다. AT화산재의 층준을 이루고 있으며, OSL연대를 통해 2.4만년~9만년전에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2c지층은 하부에서 확인된 K-Tz 화산재가 검출되었으며, OSL 연대결과로 보아 9만년~11만년전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3b지층 이하의 퇴적층은 아직까지 확실한 연대를 설정하기에는 자료가 부족하지만 ²⁶Al-¹⁰Be분석 결과로 보아 이 이전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만수리유적의 석기 제작기술적 측면에서 살펴보며, 석핵의 속성분석을 통해 유물포함층4ㆍ5, 유물포함층3, 유무포함층 1ㆍ2에서 구별되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4ㆍ5유물포함층의 경우 크기가 크며, 타격면의 수가 적고, 박리면의 수와 면적이 적으며, 박리각이 작다. 그리고 유물포함층3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유물포함층1ㆍ2의 경우 특별하기 소형의 소진된 형태의 석핵이 확인되고 있다. 자연과학적 연대측정자료와 비교하면 유물포함층1ㆍ2는 2.4만년~5.5만년전, 유물포함층3은 5.5만년~11만년전의 퇴적층의 연대범위에 해당하며, 유물포함층4ㆍ5는 이보다 더 오래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만수리 구석기유적의 석기공작 특징은 1.8만년~11만년에 이르는 긴 기간의 석기양상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 석기기술의 변화양상의 매우 미비하다. 일반적으로 천석을 이용하여 석핵을 이용한 대형의 석기를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 이른시기의 석기공작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석기의 제작에 있어서는 하부의 유물포함층의 경우 1차 가공한 석핵을 그대로 사용하였지만, 상부의 유물포함층에서는 2차 가공하여 대형석기들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기술적인 차이를 볼 때, 전체적인 유적의 특징으로는 석인석기가 나타나고 있지 않는 것이다. 금강유역의 구석기유적에서는 대부분 후기구석기로 편년될 수 있는 석인석기가 나타나고 있지만, 미호천유역의 구석기유적의 특징은 봉명동유적의 상부 유물포함층을 제외하면 이러한 특징이 확인되지 않는다.

영문 초록

The Mansuri site is often considered as one of the early Paleolithic site in Korea. The site is located in the Miho river basin in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t was examined 14 localities of Mansuri site and most are located on the slope of the hill of alluvial land in Miho river. The lower layer was characterized with river bed gravels at bottom and was deposited into the upper layer of alternate bedding of sand and silt. Aeolian and colluviums layers were deposited above the fluvial deposits at the bottom. Paleolithic study that we have conflicting results from absolute chronology of ²⁶Al-¹⁰Be dating and OSL. Tephra chronology, OSL and ²⁶Al-¹⁰Be were used for understanding the age of sediments. As a present conclusion of chronology, upper layers, Cultural Cayers1~3, estimated at about from 50ka to 110ka BP, while layers below the Layer3 could be much older than 110,000BP. In this regard, 26Al-10Be’s age date of 0.52mya from Layer 5 provide a sensible clue to understand the earliest age of the site. Cultural Lyers have been identified the five in the Locality 4, but density of artefacts is not high at all throughout all layers. Lower layers are charactered by pebble-made choppers, whose striking platforms are not retouched, H.D.S. and Polyhedrals. The more we go to the upper, the more we can comprehend the chronological alteration in the choice of raw stone and the production technique of small stone artifacts. Cores on the Cultural Layer3 are, above all, reduced secondarily. Some of cores from the upper layers are more exhausted than those from lower layers. Pseudo-conical types are also present in the assemblage from the upper layers. It may have been derived from the low quality of raw material, mostly quartz vein. As conclusion about chronology of stone industries, upper parts of sediments of Mansuri site were deposited during the Upper Pleistocene while lower layers, below the Layer3, were probably formed during the Middle Pleistocene. The stone industry from the Cultural Layer3 is believed to represent early Paleolithic industry can be considered before 110Ka BP. Choppers, of which a facet is cut out, appear on the horizon beneath the layer that has hand axes in Mansuri site. In the production technique of stone relics does the tendency of selecting or rejecting stool cores turn up. The more we go to the upper, we can recognize the gradual and technical transformation that small stone artifacts are prominent.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만수리구석기유적의 퇴적환경과 연대범위
III. 만수리 구석유적 4지점 출토유물의 속성분석
IV. 만수리 기타지점과의 비교검토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룡(KIM Ki ryong). (2011).청원 만수리 구석기유적의 석기공작 비교연구. 한국구석기학보, (24), 3-20

MLA

김기룡(KIM Ki ryong). "청원 만수리 구석기유적의 석기공작 비교연구." 한국구석기학보, .24(2011): 3-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