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기업박물관의 방향성 연구

이용수 257

영문명
Analyz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orporate Museum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장재희(Jang, Jae Hee) 김동언(Kim, Dong Eon)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40집, 205~2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최근 국내 기업박물관의 변화와 그 변화를 가져온 요인과 미래를 전망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박물관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해외 사례의 운영상 주요 특징을 조사하여 국내 사례와의 상호 유사성과 운영방향을 비교하였다. 국내 사례의 경우 개관연도, 규모, 공간구성, 전시테마, 전시품, 주요특징 등으로 분류해 대상 사례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기업박물관 시설의 운영과 전략의 방향성 도출을 위해 6가지 비교 분석 키워드에 의한 비교 분석을 하였다. 비교 분석의 객관적 가치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소비 트렌드, 직업 트렌드, 기업의 사회공헌 변화, 그리고 정부의 문화정책 등의 분석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 사례의 선정은 주요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해 최근 3년(2013-2015) 내에 설립된 시 설 중 영리 목적의 입장료를 받지 않는 문화예술 공헌의 성격을 띤 수도권 소재 기업박물관 시설 7곳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들의 소비 트렌드와 가치의 변화가 기업박물관의 운영전략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시장 환경에 대처해야 할 기업은 기업박물관을 기업의 정체성 강화와 이미지 제고를 위한 전략적 도구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소비 트렌드와 기업을 둘러싼 외부 환경적 요인의 변화는 기업박물관의 기능에도 영향을 주어, 박물관으로서의 고유 기능 이외에도 복합문화시설 공간으로 그 기능을 새롭게 확장시켜 나가고 있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세분화된 소비문화 환경에 따라 국내 환경과 정서에 맞는 기업박물관 건립에 논의 사항을 제공하고, 최근 문화 트렌드를 선진국 사례와 비교 반영하여 기업박물관과 복합문화시설 운영에 적용할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dict the future of the corporate museums by analyzing the recent transformation and the cause of that transformation. To this end, the transition of the domestic corporate museums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amples from abroad to demonstrate the similarities along with the future directions of managing museums. Founding year, scale, space construction, exhibition theme, an exhibit, major characteristics and etc., of the domestic museums were all gathered to forecast the future directionality. To forecast the directionality, the comparis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6 different key words. Also to increase the credibility and the objectivity, the comparison analysis applied different frameworks including consumer trends, job trends, shift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government’s culture policy. For the purpose of visualizing the recent trend, 7 domestic museums selected and analyzed were all founded within 3 years (2013-2015)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ere the focus of museum management w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nsumption trend and evolving value of the end-user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anagement strategy of the corporate museums, and corporations took strategic measures to utilize corporate museums for strengthening their reputation and identity. It was also discovered that rapidly changing consumption trend and constantly evolving market environment expanded the function of the corporate museums from traditional exhibition facility to comprehensive cultural space.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items to be considered for establishing corporate museums aligned with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sentiment by addressing the segmented consumer cul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most recent domestic culture trends together with more advanced foreign cases were combined for the analysis to suggest the directionality of the corporate museum and comprehensive cultural fac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내용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재희(Jang, Jae Hee),김동언(Kim, Dong Eon). (2016).국내 기업박물관의 방향성 연구. 예술경영연구, 40 , 205-232

MLA

장재희(Jang, Jae Hee),김동언(Kim, Dong Eon). "국내 기업박물관의 방향성 연구." 예술경영연구, 40.(2016): 205-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